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디어 빅뱅' 빗장풀린 방송시장

방송 시장 문턱 대폭 낮아져...광고 시장 침체로 대기업 참여 제한적

여야간 대충돌로 치달았던 신문법ㆍ방송법ㆍIPTV법 등 3대 미디어법 개정안이 논란 끝에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미디어 시장에 대변혁의 바람이 몰아칠 전망이다.


22일 처리된 미디어법 개정안은 신문과 대기업이 지상파 방송의 지분을 10%, 종합편성채널과 보도전문채널의 지분 소유를 30% 이내에서 소유할 수 있게 했다. 언론통폐합 이후 29년만에 신문과 방송을 교차소유할 수 있는 길이 열린 것이다.

다만, 지상파 방송과 관련해서는 디지털 전환시점과 연계해 신문ㆍ대기업의 경영권을 2012년까지 유보했다.


◆ 방송 시장 문턱 낮아져  
미디어법 개정으로 대기업과 신문의 방송시장 진출을 가로막아온 장벽이 사라짐에 따라 방송시장은 본격적인 경쟁체제로 돌입할 전망이다. 특히 수조원대의 천문학적 자본을 투입해야 하는 지상파 방송보다 상대적으로 진입 장벽이 낮은 종합편성이나 보도전문채널 PP(방송채널사용사업자)에 대한 진출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관측된다.

지난 21일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도 "미디어 법 개정과는 상관없이 종합편성, 보도전문채널의 승인을 추진해나갈 것"이라고 밝힌 만큼 종편ㆍ보도채널 사업자 선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방통위측은 "종합편성이나 보도채널에 관심이 많은 기업들이 있어 연내 사업자 선정에는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미디어법 개정에 따라 대규모 자본의 유입으로 미디어 산업 발전이 촉진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내비쳤다.


업계에서는 중앙일보, 매일경제 등 언론사와 함께 일찌감치 영화ㆍ오락ㆍ홈쇼핑 등에 발을 담근 CJ, 롯데, 태광 등 SO(종합유선방송사)들이 종편 채널에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특히 CJ그룹은 최근 투니버스ㆍOCNㆍ온게임넷 등 인기채널을 다수 보유한 온미디어 인수를 추진하고 있어 눈길을 모으고 있다.


인수가 이뤄지면 CJ그룹은 자회사 CJ미디어와 온미디어를 합쳐 5%에 달하는 시청률을 확보하게 된다. CJ그룹측은 "온미디어 인수 시도는 케이블TV 채널 산업의 경쟁력을 위한 것"이라며 "종편 진출은 쉽게 결정할 수 있는 사안이 아니다"라고 신중한 입장을 개진했다.


IPTV 사업자 중에서는 자유롭게 프로그램을 편성할 수 있는 '직접사용채널(직사채널)'에 관심을 보여온 KT가 주목받고 있다. KT의 한 임원은 "종편 채널은 수익성 문제로 쉽게 결정할 사안이 아니다"면서도 "내부적으로 검토해볼 수는 있을 것"이라고 여운을 남겼다.


일각에서는 KT가 언론사 주도의 컨소시엄에 지분을 투자하는 방식으로 종편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 광고 시장 위축으로 사업성 밝지 않아  
하지만 경기 침체 여파가 장기화되면서 기업들의 방송시장 진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종편은 최소 5000억원, 보도전문채널은 최소 1000억원 정도는 투자해야 하는데 이같은 투자가 이뤄진다고 해도 치열한 경쟁때문에 생존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이 최근 미디어법 관련 연구보고서를 통해 미디어법 개정 이후 최대 2만1400개의 일자리와 2조9419억원의 생산유발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지만, 이 자료가 왜곡 논란에 휩싸이면서 장밋빛 전망에 그늘이 드리워지고 있는 것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무엇보다 경기침체로 광고시장도 바짝 움추러든 상황이다. 전체 방송시장에서 70% 이상을 차지하는 지상파 방송 광고 규모만 해도 2002년 2조7209억원으로 정점을 찍은 뒤 하락세로 접어들어 지난 해에는 2조1856억원에 그쳤다.


수도권 MSO의 한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인한 광고시장 위축으로 일부 인기 채널을 제외한 대다수 채널은 적자를 면키 어려운 상황"이라면서 "대규모 투자가 동반되는 종편 등에 신규 사업자가 진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후발 사업자로서는 KBS(9번), MBC(11번), SBS(6번), YTN(24번)과 비교해 상위 채널을 배정받지 못하면 경쟁력이 떨어지는 만큼 채널 쟁탈전도 동시에 벌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1200만여 가구에 달하는 현재 아날로그 케이블TV는 채널이 포화상태여서 상위권 채널을 배정받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막장 드라마'로 대변되는 시청률 지상주의의 폐해가 미디어 시장 개방 이후 오히려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아울러, 야권이 미디어법 처리 과정에서의 '대리투표'와 '재투표'를 정치쟁점화하고 있어 미디어법의 앞날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

이정일 기자 jaylee@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