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동서남해안선 따라 고속철도 건설

지역발전위, 초광역권 '5대벨트' 개발 추진

경부와 호남선 외에 해안선을 따라 고속철도를 건설하는 방안이 검토된다.


또 서울에서 속초를 잇는 고속철도가 만들어져 'ㅁ'자형 고속철도망이 구축도 포함된다.

이같은 간선교통망은 동서남해안권과 북쪽 접경지역, 내륙 등 5대 벨트의 초광역권 개발과 함께 완성된다.


대통령 직속 지역발전위원회는 국토의 새로운 대외개방형 미래성장축인 동서남해안권과 남북접경지역을 육성하기 위한 '초광역개발권 종합계획' 시안을 이 같이 마련했다고 밝혔다.

위원회는 16일 위촉위원 전체회의를 갖고 대외개방형 미래성장축으로 육성할 새로운 초광역개발권 구상 중간시안을 논의한 후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해 이명박 대통령에 보고하기로 했다. 종합계획은 연말까지 확정된다.


초광역권 개발계획 시안은 아시안 하이웨이, 대륙철도망 등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교통 물류망 확보와 동서남해안 등 초광역개발권역내 간선 교통물류망 구축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 동·서·남·북 각 특성에 맞는특화벨트를 구성, 종합 개발하도록 했다. 여기에 내륙특화벨트까지 구성해 5대 벨트별 초광역권 개발을 추진하기로 했다.


남해안 '선벨트'는 동북아 해양관광 및 물류.산업 등 경제허브로, 동해안 '블루벨트'는 에너지.관광벨트로서 에너지와 해양관광 등 녹색성장의 전진기지로 개발한다는 구상이다. 또 서해안 신산업벨트인 '골드벨트'는 동북아 국제비즈니스 거점과 신산업벨트, 남북교류접경벨트인 '평화에코벨트'는 세계 유일의 평화.생태벨트로 개발할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초광역개발권과, 5+2광역경제권, 기초생활권이라는 '3차원 지역발전'을 완성하게 된다.


계획 수립을 위해 정부는 초광역개발권 구현을 위한 ‘5대 추진전략’을 밝혔다.


먼저 동북아의 초국경적 협력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유라시아 대륙을 연결하는 도로, 철도, 공항, 항만 등 통합적인 교통·물류망을 확충한다. 환황해권, 환동해권, 환태평양권의 주요 도시간 경제교류협력도 활성화한다.


이를 위해 아시안하이웨이, 대륙철도망의 연결이 추진된다. 또 장기적 차원에서 해저터널, 열차페리 등 해운물류 네트워크의 경제적·기술적 타당성도 연구된다.


정부는 초광역개발권역내의 기능적 연계와 상생발전을 위해 동서남북 간선 교통물류망 등 '국토의 초광역 인프라 구상'도 중장기적인 차원에서 실현해 나간다. 이를 위해 동서남해안축과 동서축(서울-속초)을 포함하는 'ㅁ'자형 고속화철도망 구상 등의 타당성도 검토하기로 했다.


여기에 초광역권별 특화산업을 중심으로 초광역적 산업벨트도 육성되며 연안·해양자원, 자연경관 등을 기반으로 국제수준의 해양생태 관광벨트도 조성된다.


뿐만 아니라 문화, 관광, 생태 등 분야의 지역공동발전사업이 추진되며 남북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교류협력사업을 활성화해나가는 등 한반도 통일시대에 대비하는 국토기반도 마련된다.


정부는 이같은 추진전략을 토대로 각 지역의 특성과 잠재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특성화 벨트를 구축하기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소민호 기자 smh@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