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상가 뜨는지역 … 기습 버블 우려

상가정보연구소, 기습 버블 유형 밝혀

주택 뿐 아니라 상가시장에도 일부 지역에 편중된 시중자금이 몰리자 기습 버블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6일 상가정보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판교로 뭉칫돈이 몰리면서 상가분양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일부 공급 물량은 과열 경쟁으로 인해 기습적 버블 형성이 다분하다는 분석이다.

기습적 버블은 자연적 가격 상승이 아닌 소위 뜨는 지역에 급작스럽게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이 높게 형성된 현상이다.


특히 기습적 버블은 입찰방식으로 공급되는 상가의 경우 과열현상이 빚어지면서 내정가 대비 2배에 달하는 상가가 출현하기도 한다.

지난 6월 공급된 주공 단지내상가의 경우 예정가격 대비 최고 211.5%를 기록한 점포의 경우 3.3㎡당 가격은 7000만원에 달했다.


동일 블럭내 나머지 호별 점포들의 낙찰가률도 대부분 150%를 넘기면서 3.3㎡당 5000만원~7000만원대를 형성했다.


이 금액은 판교 근린상업, 중심상업지역내 1층 기준 공급가격과 맞먹는 결코 녹록치 않는 수준이다.


평균 낙찰가률도 지난 3월 공급분 110.4%, 5월 공급분 120.2%에서 6월에는 146.3%로 치솟았다.


상가정보연구소는 경쟁입찰 방식외에도 늘 대기 수요가 풍부한 강남 빅3 지역에 대해서도 기습적 버블 형성의 가능성도 제기했다.


또 ▲소비력이 탄탄한 수요층을 배후로 둔 일부 재건축 상가의 입주 호재 ▲교통여건개선으로 유동인구 형성 가능성이 높은 신설 역세권 신축상가 ▲입지적 프리미엄이 더해지면 주변 가격을 앞지를 지역 등도 우려지역으로 꼽았다.


이밖에 인기지역내 상업용지 입찰, 선분양, 통매입 상가 재분양등도 국지적이고 기습적인 버블 동반 가능성이 높은 요인들로 꼽았다.


박대원 상가정보연구소장은 “상가는 개별적 특성으로 가격 또한 상권과 입지마다 천차만별일수 밖에 없다”며 “이에 따라 매입가격의 거품 수위는 임차인 입장에서 월세 납입에 무리가 없는지 따져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김정수 기자 kjs@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