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中 "적절히 완화된 통화정책 유지" 출구전략 뒤로 미뤄

중국이 적절히 완화된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는 뜻을 재확인했다.
이로써 유럽ㆍ미국을 비롯해 중국마저 출구전략(exit strategy) 논의를 뒤로 미뤘다. 경기부양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뜻으로 경제위기 극복 이후 인플레이션에 대비해 유동성을 흡수해야 한다는 논의가 시기상조라는 의미다.

중국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회는 25일 홈페이지 성명을 통해 "경제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적절히 완화된 통화정책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중국 경제상황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기초토대는 아직 만족할 정도로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판단이 섰기 때문이다.

미국도 24일(현지시간) 제로금리를 당분간 유지해 출구전략을 마련하지 않을 것임을 밝혔고 이에 앞서 유럽에서도 유럽중앙은행(ECB)이 금융시장에 4422억유로에 달하는 사상 최대의 긴급자금을 투입했다.

인민은행 통화정책위원회는 "시장의 신뢰가 중요한 만큼 현재 통화정책의 흐름을 지속적으로 운영함으로써 통화공급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같은 정책기조는 최근 관료들의 발언을 통해서도 예견됐다.
원자바오(溫家寶) 총리는 지난 17일 "경제회복을 앞둔 중국이 중대시점을 맞았다"고 언급하는 등 부양 정책기조 변화가 없을 것이라고 밝혔고 인민은행은 '1분기 통화정책 보고서'를 통해 통화정책 완화를 지속하고 은행들에게 충분한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판강(樊綱) 통화정책위원은 현재 통화팽창이 문제를 야기할 정도는 아니라며 "앞으로도 2~3년간 정책기조를 유지해야 경제가 회복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국가정보센터의 주바오량(祝寶良) 경제예측부 부소장은 "어려운 시기는 지났으나 경제가 회복됐다는 증거가 아직 불충분하다"며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강(易綱) 인민은행 부총재도 아직 통화팽창에 따른 후유증을 염려할 때가 아니라고 했고 위안강밍(袁鋼明) 사회과학원 거시경제연구실 주임 연구원도 "지금까지 대부분의 정책자금이 기초인프라 건설에 투입돼 소비 진작이 본격화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연 8% 성장을 목표로 하는 중국은 지난해 4ㆍ4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이 전년동기대비 6.8%로 부진한데 이어 올해 1ㆍ4분기에는 6.1%로 뚝 떨어졌다. 2분기 GDP 증가율은 8%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긴 하지만 내외부 여건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올해 8% 성장을 자신할 수 없는 상황이다.

중국은 통화팽창 속도가 빠르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올해들어 2월까지 20% 안팎으로 늘던 총통화(M2) 증가율은 3월부터 25%대로 확대됐다.

4월에 이미 올해 목표치를 초과한 신규대출은 5ㆍ6월에도 완만한 속도로 계속 늘고 있다. 1~3월 1조위안을 훌쩍 넘어섰던 신규대출은 4월부터 6000억위안 수준으로 절반 가량 줄었다.

김동환 베이징특파원 donkim@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