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대통령직속 사회통합위 8월 신설

이념, 계층, 지역 간의 심각한 갈등을 중재하고 조정할 대통령직속 사회통합위원회가 오는 8월 중 발족할 예정이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이와 관련, "지난 몇 달 간 미뤄져 왔던 사회통합위원회 출범을 8월 중에는 마무리할 것"이라며 "사회 각계에서 분출되는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창구를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사회통합 문제를 범정부적 차원에서 다루겠다는 것. 사회통합위는 새 정부의 국정지표 중 하나인 '따뜻한 사회'를 구현을 위해 사회·복지·고용 분야를 중점적으로 논의할 예정이다.

대통령직속 사회통합위원회는 당초 지난 1월 발족할 예정이었으나 주변 상황이 여의치 않아 여러 차례 연기돼왔다.

국민통합은 경제살리기와 함께 이 대통령의 대선 핵심공약이다. 아울러 지속가능발전위원회가 부분적으로 사회통합 이슈를 취급하고 있지만 우리 사회의 심각한 지역, 계층, 세대간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다소 미흡해 사회통합위의 신설이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정치사회적 갈등이 국론분열 수준에 이른 만큼 출범을 서둘러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이 대통령은 특히 지난 15일 라디오연설에서 이념과 지역에 따른 민심의 분열을 우려하며 근원적 처방을 강조한 데 이어 22일 수석비서관 회의에서도 "지나치게 진보다 보수다 이념적 구분을 하는 것 아닌가. 사회전체가 건강해 지려면 중도가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사회통합위는 전국적으로 50명 안팎의 각계 저명인사들이 위원으로 참여하고 초대 위원장에는 덕망 있는 학자 출신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회통합위는 앞으로 이념갈등 극복방안, 신빈곤층 대책, 사회양극화 해소, 지역 및 성 차별 문제 등에 대한 각계각층을 의견을 수렴하고 관계부처와 해법을 모색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김성곤 기자 skzero@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