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중기 보안역량 낙제점...'100점 만점에 47점'

중소기업의 산업보안역량이 크게 취약한 것으로 드러났다.

중소기업청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가 자체 기술연구소를 보유한 504개 기업의 산업보안 역량을 조사한 결과 중소기업은 100점 만점기준으로 평균 47점에 그쳐 ‘취약수준 이하(55점 미만)’를 기록했다.

특히 6개의 평가영역 중 ‘유출사고시 대응’은 보안역량이 ‘위험수준(40점 미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 살펴보면 대기업의 경우 80.1점(양호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의 58.7% 수준에 불과한 47점(취약수준)으로 조사돼 기업규모별 편차가 두드러졌다.

중소기업의 경우 대기업과 달리 유출사고가 발생하더라도 실질적인 보안업무 개선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유출 대기업의 86.7%가 유출사고 발생 후 보안관리 업무가 개선된데 반해, 중소기업의 경우 개선기업의 비율이 39.6%에 불과했다.

그러나 중소기업의 산업기밀 유출비율은 2006년대비 9.5%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정부의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유출방지 지원정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됐다.

중소기업청에서는 6월 하순 기술보호 상담센터를 개소하고 온라인 보안교육, 가이드북 발간 등 적극적인 대책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박충훈 기자 parkjovi@asiae.co.kr
<ⓒ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