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뉴욕마감]"올해 美성장률 하향"에 다우 0.62%↓

FOMC의사록 "올해 경기침체 심화될 것"..달러약세, 유가 62弗 돌파

뉴욕증시가 이틀 연속 하락했다. 이날 증시는 장초반 금융주, 에너지주 주도로 상승 출발했으나 장후반 하락 반전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일대비 0.62% 내린 8422.04를 기록하고 있다. S&P500지수는 0.51% 하락한 903.47을 나타냈으며 나스닥지수는 0.39% 내린 1727.84를 기록했다.

신용카드 규제에 대한 우려로 금융주가 장초반의 수익을 대부분 뱉어냈다. 휴렛패커드는 5.4% 하락하면서 다우존스 지수 하락을 견인했다. 무엇보다도 연준의 경제성장률 하향 전망이 그동안 시장에 팽배했던 낙관론을 불식시키며 증시를 하락 반전으로 이끌었다.

다만 상품 가격이 상승하면서 관련 기업들의 주가는 오름세를 나타냈다. 옥시덴탈페트롤리엄은 백금값 상승으로, US스틸과 프리포트-맥모란코퍼&골드(FCX)도 구리가격 등 금속 가격 상승에 힘입어 적어도 1% 이상 올랐다. 유가 상승도 상품 관련 기업 랠리에 한 몫했다.

미 연준 "경기 올해 악화 지속, 내년에 느린 회복"

이날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는 공개시장위원회(FOMC)의사록을 발표해 "올해 경기침체가 더욱 심화될 것이며 내년에 느린 회복을 나타낼 것"이라고 전망하면서 상승 장세를 뒤집어 놓았다.

연준은 올해 미국의 국내총생산(GDP)성장률이 1.3%∼2% 감소할 것이라고 제시해 경기 바닥에 대한 기대감을 꺾어 놓았다. 이같은 연준의 전망치는 기존 전망치보다 0.5%∼1.3% 하향 조정한 것이다. 다만 연준은 내년 GDP전망치는 2%~3%로 상승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의원들은 또 추가적인 국채 매입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편 신용카드 규제 법안 통과도 시장의 우려감을 가져왔다. 아메리칸익스프레스이 신용카드 수수료 인상을 제한하는 카드규제법안은 대출 감소를 불러올 수 있다고 언급해 증시 하락을 부추겼다.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오는 22일 신용카드 규제 법안에 서명할 계획이라고 대통령 대변인이 언급했다.

주택지표 양호, 은행들 자본확충 본격화

미국 MBA 주택융자신청지수는 전주대비 증가해 개선된 모습을 나타냈다. 집값 하락으로 인한 신규 주택 수요 증가와 자금 상환용 대출 수요가 증가했다.

20일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모기지은행연합회(MBA)의 지난주 주택융자신청지수가 주택 구입이나 대출 상환으로 인해 전주대비 2.3% 증가해 915.9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지수는 직전 주에 895.6을 기록한 데 비해 증가했다.

스트레스테스트에서 자본 확충을 권고받은 은행들은 자본확충을 본격화하고 있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A)는 보통주 신주발행을 통해 135억달러를 확충했다. BOA는 자본확충을 위해 12억5000만주의 신주를 주당 10.77달러에 발행했다.

미국 앨라배마주 최대 은행인 리전파이낸셜도 12억5000만달러의 자금을 확충하기로 했다. 리전파이낸셜은 10억달러 어치의 보통주와 2억5000만달러의 의무전환우선주를 매각할 방침이다.

달러약세..유가, 상품 급등

달러화는 지난 1월 이후 유로대비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안전자산선호 심리가 약화되면서 달러화는 약세를 나타냈다.

뉴욕시간 오후 4시 1분 현재 뉴욕외환시장에서 달러·유로 환율은 전일 1.3630달러 대비 1% 오른 1.3768달러를 기록했다. 엔·달러 환율은 94.75엔으로 전일 95.97엔에서 하락했다. 엔·유로 환율은 130.81엔에서 130.51엔으로 내렸다.

미 원유재고량이 예상외로 큰 폭 감소하면서 유가는 고공행진을 펼쳤다. 국제유가는 한때 배럴당 62달러대를 넘어서는 등 6개월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날 미국 뉴욕상품거래소(NYME)에서 6월 인도분 원유가격은 오후2시 45분 현재 배럴당 62.04달러로 전일대비 1.94달러, 3.2% 상승했다. 유가선물은 올해 39%나 급등했다.

미국의 지난주 원유재고량은 전주대비 감소했다. 미국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 원유재고량이 전주대비 210만배럴 감소한 3억6850만배럴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블룸버그 전문가 예상치인 40만배럴 감소를 웃돈 수준이다.

상품 투자가 부각되면서 금값도 7주만에 최고 수준까지 치솟았다. 뉴욕시간 오전 9시 40분 기준 뉴욕상품거래소(NYME)에서 6월인도분 금선물은 10달러, 1.1% 오른 온스당 936.70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한편 구리가격도 1주일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달았다.


정선영 기자 sigumi@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