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건설·조선 2차 구조조정 '후폭풍' 없나

건설·조선사에 대한 2차 신용위험평가가 확정되면서 다음주부터 본격적인 구조조정에 돌입한다.

겉으로는 전체 심사 대상인 74곳 중 27%인 20곳이 워크아웃(C등급) 또는 퇴출(D등급) 대상으로 분류됐다.

지난 1차 신용위험평가 당시 112곳 중 14.3%인 16곳만 구조조정 대상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양적 증가세가 뚜렷하다.

하지만 내용을 뜯어보면 다소 미흡하다는 평가를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겉포장은 화려하지만...

건설사의 경우 시공능력 101위에서 300위까지 건설사 중 70곳이 신용위험평가 대상이었다. 전체 200곳을 기준으로 보면 구조조정 대상이 8.5%인 셈이다.

1차 평가 당시 C등급 또는 D등급을 받은 곳의 계열사들이 자동적으로 C등급 이하를 받은 경우도 적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전반적으로 선제적 구조조정이라는 평가를 내리기는 어렵다.

금융권에서는 특히 1차 구조조정에서 나타난 후폭풍이 재연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지난 1차평가에서는 B등급을 받은 신창건설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부실평가 논란에 휩싸였다. 급기야 금융감독원이 주채권은행이었던 농협에 대한 특별검사를 진행했다.

워크아웃에 돌입하는 C등급 회사들에 대해 채권단이 원만한 구조조정 작업을 추진할 지도 관건이다. 1차평가 당시 C등급을 받았던 대동종합건설은 채권단간 이견으로 워크아웃이 무산되며 법정관리 절차로 돌입했다.

퇴출 대상인 D등급 기업들의 면면을 살펴봐도, 이미 부도가 났거나 법원에 회생신청을 한 곳 또는 사주가 사라져 기업 경영이 불투명한 곳들이 대다수이다.

지방은행들이 주채권은행인 지방소재 중소건설사들도 상당수 구조조정 '칼날'을 피해갔다. 이에따라 금융권 안팎에서는 은행들이 건전성 악화를 우려해 적극적인 구조조정에 나서지 않았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대기업 신용평가 5월에 마무리

한편 금융당국은 기업구조조정의 '핵'이라 할 수 있는 대기업에 대한 신용평가를 당초보다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주재성 금감원 부원장보는 이날 브리핑에서 "위기상황을 감안해 44개 주채무계열에 대한 재무구조개선 약정(MOU) 체결을 5월말까지 끝낼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기업 구조조정은 정부가 대주주인 우리은행과 국책은행인 산업은행이 사실상 '열쇠'를 쥐고 있다. 우리은행은 삼성, LG, 두산, 한화, 효성, 코오롱, 이랜드, 대림, 하이트맥주, 아주, 대우인터, 한솔 등 16곳의 주채권은행을 맡고 있다.

산업은행이 평가해야할 곳도 대우차판매를 비롯해 금호, 한진, STX, 동부, 동국제강, 동양, 현대오일뱅크, 애경 등 12개에 달한다.

정부의 의지에 따라 과감한 구조조정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점에서 관심이 모아진다.

177개 해운업체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도 4월부터 시작된다. 채권은행들은 내달 초까지 해운업에 대한 신용위험 평가 기준을 마련해 금융권의 신용공여액이 500억 원 이상 37개사를 먼저 평가하고 나머지 140개사에 대해서는 6월 말까지 옥석을 가린다.

박수익 기자 sipark@asiae.co.kr
유윤정 기자 you@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다양한 채널에서 아시아경제를 만나보세요!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