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10조원대 쿠웨이트 정유공장 수주 계약 무산 '위기'

GS건설, SK건설, 대림산업, 현대건설 등 국내 굴지의 건설사들이 참여해 따낸 총 60억 달러(10조원) 규모의 쿠웨이트 정유공장 프로젝트가 쿠웨이트내 정치 세력의 반발로 무산위기에 처했다.

이에 해당 건설사에서는 사실 여부를 확인하고 다른 해외수주건에 대한 피해 여부를 확인하는 등 분주한 모습이다.

16일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쿠웨이트 국영정유회사인 페트롤리엄 코퍼레이션(KNPC)가 지난해 발주한 총 83억 달러의 알-주르 제4정유공장 신설 프로젝트 4개 패키지가 취소 논의중이다.

쿠웨이트 셰이크 나세르 총리는 "다음 내각 회의에서 이번 프로젝트를 공식적으로 취소할 예정"이라고 말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당초 쿠웨이트 알주르 정유시설 프로젝트는 국내업체가 수주한 해외공사 금액 중 최대규모로 KNPC에 의해 4개 패키지로 나눠 발주됐다.

이중 GS건설은 일본 JGC사와 공동으로 본 공사 계약을 체결했다. SK건설은 수소 생산설비를 단독으로 따냈으며 대림산업 정유시설 저장탱크 단지를, 현대건설은 연안시설 공사를 각각 수주했다.

업체별 수주금액은 SK건설(제1정유공장)이 20억 6000만 달러, GS건설(제4정유공장)이 20억 달러, 대림산업 11억8000억달러, 현대건설 11억 2000만 달러 등이다.

또 각 공사는 '코스트 + 약정 이윤' 방식으로 계약이 체결돼 공사에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쿠웨이트측이 지불하게 돼 있었다. 이에 실제 쿠웨이트가 지불해야 하는 총 비용이 발표 당시의 비용보다 훨씬 더 커질 것으로 알려졌다. 쿠웨이트 의회에서는 이를 빌미로 반발했고 이후 해당 건설사들은 지난 1월 정식 계약을 체결하기로 했음에도 LOI(투자의향서)만 체결한채 정식 계약서는 구경도 못한 상태다.

업체들은 일단 수천만달러 규모의 플랜트 설계를 위한 선수금은 받아놔 실제적인 피해는 없을 것으로 예상했다. 하지만 재입찰시 이들 업체들이 다시 수주할 수 있다는 보장은 없는 상황이다. 다만 쿠웨이트 국왕이 이번 프로젝트를 밀고 있는 만큼 취소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게 이들의 중론이다. 하지만 수주 취소시 각 건설사들의 대외적이 이미지에도 영향력이 있는 만큼 쿠웨이트 정부를 상대로 소송도 진행시킬 수 있는 상황이다.

GS건설 관계자는 "현지측에 확인 중"이라면서도 "현재 선수금을 받아놓은 상태이기 때문에 수주한 건설사내 피해는 없다"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쿠웨이트 프로젝트가 정치 싸움에 말려든 꼴"이라며 "만약에 계약이 취소되더라도 재입찰에 반드시 참가하겠다"고 강조했다.


황준호 기자 rephwang@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