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미분양 양도세 혜택 얼마나 받나

지금 미분양주택을 사면 양도소득세가 얼마나 줄어들까.

미분양주택 해소를 위해 지난 2월 나온 세제개편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9일 정부는 이와 관련한 후속 조치 및 개정이 시급한 세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했다. 이중에는 미분양주택 양도세 감면 관련 내용이 포함돼 있다.

1주택자인 홍모씨가 부천의 미분양아파트를 5억원에 매입했다가 5년 이내에 7000만원의 양도차익을 남기고 팔 경우 1670만원의 양도세를 내야한다.

하지만 여기서 60%를 감면받게 되면 668만원으로 양도세가 줄어든다. 정부의 이번 조치로 과밀억제권역은 양도세액의 60%까지 감면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해당 지역이 평택이나 용인 등 과밀억제권역이 아니라면 양도세를 한푼도 내지 않아도 된다.

취득 후 5년이 지나서 양도하는 경우에는 조금 다르다. 감면대상 양도소득금액은 먼저 실지거래가액에 따른 양도소득금액을 계산한 후 취득 당시와 5년이 되는 시점, 양도당시 기준시가를 기준으로 안분해 계산한다.

김모씨가 홍씨와 같은 단지의 미분양아파트를 사서 5년 이후에 팔았다고 가정해보자. 김씨는 공시지가 4억원짜리 미분양아파트를 5억원에 샀다.

취득 후 5년이 지난 시점에서 시세가 8억원(공시지가 6억4000만원)까지 올랐고 그로부터 몇 년 후 매도시점에서 양도가액이 10억원(공시가격 8억원)이라면.

이렇게 되면 양도차익 5억원 중 감면대상 소득금액은 3억원이 된다. 양도차익 중 3억원을 감면받기 때문에 김씨의 과세표준은 기본공제금액 250만원을 제한 19억7500만원이다. 1가구 2주택자로 세율 25%를 적용할 경우 양도세로 4888만원을 납부하게 된다.

하지만 인천이나 경기도 부천, 고양시 등 과밀억제권역에서 전용면적 149㎡(45평, 분양평형 60평형 내외)가 넘는 미분양주택을 샀다면 이 같은 양도세 계산법을 적용할 필요가 없다. 양도세 감면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미분양주택 양도세 감면 관련 시행령 개정 내용에는 과밀억제권역 내에서는 전용 149㎡ 이하에 대해서만 5년간 발생한 양도세를 감면해주기로 정했다. 수도권과밀억제권역이 아닌 경우 면적에 상관없이 양도세를 감면 받을 수 있다.

한편 양도세 감면 대책이 발표된 지난 2월 12일 이전에 계약을 체결한 미분양주택이라면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정부가 정한 미분양주택 범위는 지난 2월 12일부터 내년 2월11일까지 계약분에 한해서다.



※ 과밀억제권역 : 서울, 인천시(강화군ㆍ옹진군 등 제외), 경기 14개시(의정부, 구리, 남양주, 하남, 고양, 수원, 성남, 안양, 부천, 광명, 과천, 의왕, 군포, 시흥)

김민진 기자 asiakmj@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