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 출범…7개 포털 참여

인터넷 게시물의 자유와 책임 문제를 다룰 민간자율조직 한국인터넷자율정책기구(KISO)가 3일 출범했다.

KISO는 앞으로 개방과 공유의 정신을 바탕으로 건강한 인터넷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한 공동 게시물 정책을 마련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될 예정이다.

다음커뮤니케이션, 야후코리아, SK커뮤니케이션즈, NHN, KTH, 프리챌, 하나로드림 등 국내 7개 포털회사들이 KISO의 회원으로 참여하게 된다.

KISO는 주형철 SK커뮤니케이션즈 대표를 이사회 의장으로 하는 등 회원사 대표들로 이사회를 구성했으며 상시 가동될 정책위원회의 위원장으로는 김창희 전 동아일보 국제부장(전 한국신문윤리위원회 윤리위원)을 선임했다.

정책위원으로는 김 위원장 외에 배영(숭실대 정보사회학과 교수), 황성기(한양대 법학과 교수), 황용석(건국대 신문방송학과 교수), 이병선(다음커뮤니케이션 대외협력본부장), 김준석(야후코리아 법무실장), 안진혁(SK커뮤니케이션즈 서비스기획실장), 박혜진(NHN 서비스관리지원실장), 임성식(KTH 고객행복실장), 박창규(프리챌 포털사업부장), 김경태 씨(하나로드림 대외협력실장) 등이 위촉됐다.

KISO는 네티즌들이 인터넷 공간에서 표현의 자유를 최대한 누리는 동시에 그에 따른 책임을 인식하고 실천해나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을 기본적인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네티즌들의 권리가 침해되지 않는 동시에 공공선을 구현하는 방안도 모색할 계획이다.

각 포털 회원사는 지금까지처럼 각사의 기준에 따라 게시물들을 처리하되 인터넷 게시물로 인해 사회적 현안이 발생하는 등 공동대응이 필요할 경우 KISO 정책위원회에 해당 사안을 상정해 처리할 예정이다.

일반 네티즌들도 4월부터는 불법·음란정보 등 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는 게시물에 대해 KISO 홈페이지(www.kiso.or.kr)를 통해 신고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그러나 인터넷 이용자들이 직접 작성하지 않은 언론사 제공 뉴스는 KISO가 다루는 게시물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주형철 이사회 의장은 "KISO 출범은 보다 체계적인 자율규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가 마련됐다는 의미"라며 "순수하게 민간자율로 운영되는 KISO의 출범이 사회적 신뢰와 한국적 공동자율규제 체계를 갖춰나가는 의미 있는 첫 걸음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함정선 기자 mint@asiae.co.kr
<ⓒ아시아 대표 석간 '아시아경제' (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