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지영인턴기자
기자의 사진을 챗GPT로 생성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오픈AI가 최근 출시한 '챗GPT-4o 이미지 제네레이션' 모델이 폭발적인 인기를 끌면서 챗GPT의 일간 이용자 수가 처음으로 120만명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데이터 플랫폼 기업 아이지에이웍스의 모바일인덱스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기준 챗GPT 국내 일간 활성 이용자 수(DAU)는 역대 최다인 125만2925명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10일 챗GPT DAU는 103만3733명으로 첫 100만명대를 기록했는데 약 2주 만에 최다 기록을 다시 경신한 셈이다. 지난달 1일까지만 해도 챗GPT DAU는 79만9571명에 불과했다.
이같은 이용자 급증은 오픈AI가 지난달 25일 출시한 신규 이미지 생성 AI 모델 '챗GPT-4o 이미지 생성'이 영향을 끼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해당 모델이 공개된 이후 최근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는 유명 에니메이션 제작사의 화풍으로 변환한 이미지가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특히 일본의 유명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지브리'의 그림체를 모방한 이미지 제작이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다.
기자의 사진을 챗GPT로 생성한 지브리 스타일 이미지
챗GPT 개발사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도 자신의 X(엑스·옛 트위터) 프로필 사진을 지브리 화풍으로 올려 이목을 끌었다. 해당 모델은 오픈AI의 멀티모달 AI 모델 '챗GPT-4o'와 결합한 이미지 생성 모델로 명령어를 하나하나 입력할 필요 없이 이용자의 의도를 파악해 이미지를 생성한다.
다만 각종 부작용과 우려도 발생하고 있다. 챗GPT를 활용한 이미지 생성 수요가 급증하자 올트먼 CEO는 "그래픽처리장치(GPU)가 녹아내리고 있다"며 기술적 부작용을 우려한 바 있다. 모든 콘텐츠 생성을 일반 이용자 재량에 맡기면서 문화 전쟁 또는 혐오 콘텐츠 확산 우려도 나온다. 해당 모델은 특정 애니메이션 '화풍'을 자유롭게 적용한 결과물을 도출해내는 것이 큰 특징인만큼 콘텐츠 원작자의 저작권을 어느 범위까지 보호해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도 지속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