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우성·문가비 같은 혼외자 1만명 돌파…OECD 비교시 걸음마 단계

지난해 혼외자 1만900명…3년 연속 증가
OCED 평균 혼외 출생률 대비 낮은 수치
청년 세대, '비혼 출산'에 긍정적

모델 문가비(좌), 배우 정우성(우). 문가비, 정우성 인스타그램

배우 정우성이 '혼외자 출산'으로 논란에 휩싸인 가운데 혼인외 출생자가 3년 연속 증가하고 있는 사실이 재조명됐다.

통계청이 지난 8월 공개한 '2023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외 출생자는 1만900명으로 3년 연속 증가했다. 이는 전체 출생아(23만명)의 4.7%에 달하는 수치다. 국내 혼인외 출생자는 2013년 9300명에서 2020년 6900명까지 줄어든 바 있으나 2021년 7700명, 2022년 9800명으로 늘어난 바 있다. 다만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의 평균 혼외 출생률인 41.5%에 비하면 낮은 수준이다.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후 혼외 출산 비율은 0~2%대에 머물렀으나 2018년 이후 급속도로 높아져 2022년 3.9%로 3%에 들어섰고 지난해 처음 4%대에 진입했다. 이는 법적으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채 함께 사는 사실혼 관계 등에서 출산하는 경우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일부 부부들은 집값이 가파르게 상승함에 따라 혼외 출산을 결심하기도 했다. 디딤돌대출, 보금자리론 상품의 소득 기준 등이 혼인 부부에게 불리하다 보니 혼인신고를 하지 않고 대출을 받은 것이다. 주택 청약 역시 기혼보다 미혼일 때 유리해 '위장 미혼'을 택하는 경우도 존재했다.

아울러 청년 세대가 '비혼 출산'에 대해 긍정적인 모습을 보이는 등 인식의 변화도 뚜렷해진 것으로 드러났다.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올해 20~29세 중 42.8%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응답했다. 10년 전 비혼 출산에 긍정적인 답변을 했던 30.3%보다 12.5%나 증가한 수치였다. 반대한다는 응답 역시 2014년 34.9%에서 올해 22.2%로 감소했다. 성별로는 20대 남성의 43.1%, 20대 여성의 42.4%가 비혼 출산에 동의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전적으로 동의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남성(12.6%)보다 여성(15.9%)이 더 높았다.

한편 24일 연예 매체 디스패치는 모델 문가비가 최근 출산한 아들이 정우성의 친자라고 보도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정우성 측은 "아이의 양육 방식에 대해 최선의 방향으로 논의 중이며 아버지로서 아이에 대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슈&트렌드팀 정예원 인턴기자 ywju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