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7차 핵실험' 임박설…전문가들 진단은

신원식 "김정은 결심하면 언제든지 가능"
핵실험장 수해, 물리적으로 조건 어려워
소규모 실험 전망도…"소형 핵탄두 증명"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한 예측이 엇갈리고 있다. 정부는 오는 11월 미국 대선을 전후로 감행 가능성을 평가하고 있지만, 시기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전망이다.

2018년 북한 풍계리 갱도 폭파 장면 <사진출처=공동취재단>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은 전날인 23일 연합뉴스TV에 나와 "북한의 핵실험은 김정은이 결심하면 언제든지 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며 "(핵실험을) '언제 할까' 하는 것은 북한이 전략적 유불리를 따지며 결정할 거고, 미국의 대선 전후도 그런 시점에 포함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앞서 미 국무부도 북한이 핵실험 준비를 끝내고 정치적 결단만 남았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핵실험이 진행되는 풍계리 핵실험장은 올해 여름 홍수로 심각한 수해를 입었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는 이달 초 풍계리 일대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지난 7월 말 압록강 범람에 따른 대규모 홍수 피해로 풍계리의 지반이 약화되고 핵실험장 진입로 교량 일부가 유실됐다고 진단했다. 핵실험을 강행할 만큼 복구하려면 최소 3~6개월이 필요한 만큼 미 대선까지는 어렵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핵실험을 하려면 기후적 조건과 전술적 필요성 등을 고려해야 하는데, 아직 우기가 완전히 지났다고 보기 어렵다"며 "비가 완전히 그쳐도 지반이 안정되고 핵실험장 부근의 도로 유실 등을 복구해야 하기 때문에 조건이 맞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정치적 요인도 한몫한다. 미국에서 비핵화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 가운데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특히 북한이 올해 '새 외교 전략'을 수립하고 '반미 연대'의 외교 활동 폭을 넓히고 있는 만큼 이를 핵실험으로 단절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북한의 '뒷배' 역할을 해온 중국과 러시아도 핵실험이라는 초강수에는 태도를 달리할 수 있다.

사진 좌측부터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

박원곤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는 "현재 미국 정계에서 '비핵화'를 거론하지 않는데 고강도 핵실험을 강행하면 다시 미국의 과제가 된다"며 "북한 입장에서도 득이 되지 않는다"고 분석했다.

홍민 선임연구위원도 "미 대선을 전후로 핵실험을 감행하면 세계적인 주목은 받겠지만, 그 파급력이 북한에 긍정적인가 하는 건 다른 이야기"라며 "대북제재 결의가 제대로 이행되지 않는 상황에서 추가 핵실험을 하면 중국과 러시아도 제재를 반대할 명분이 사라진다"고 지적했다.

다만, 북한이 소규모 핵실험을 진행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그간 북한이 공개한 미사일에 장착할 수 있는 소형 핵탄두의 위력만 보여주면 된다는 것이다. 북한은 이미 '화산-31'로 명명한 전술핵탄두 실물을 공개한 바 있다. 이를 600㎜ 초대형방사포(KN-25), 무인수중공격정 해일, 화살-1형·2형 순항미사일, KN-24(에이태큼스), 미니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등 10종 이상의 무기에 탑재할 수 있다고 선전했다. 군 당국은 화산-31의 위력을 10kt(1kt은 TNT 폭약 1000t의 위력)으로 추정한다. 2009년 3차 핵실험을 강행했을 당시에는 5kt의 폭발력을 보여줬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양욱 아산정책연구원 연구위원은 "풍계리 시험장이 완전히 복구되지 않더라도 소형 전술핵 정도는 실험할 수 있다"며 "소형 핵탄두를 증명하려면 7차 핵실험을 강행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정치부 양낙규 군사전문기자 if@asiae.co.kr정치부 장희준 기자 jun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