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은행, 올해 1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목표 달성

토스뱅크 36.3%로 비중 가장 높아
케이뱅크·카카오뱅크 33.2%·31.5%

인터넷은행 3사(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가 올해 1분기 전체 신용대출에서 중·저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 기준(30%)을 모두 충족했다.

2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36.3%다. 뒤이어 케이뱅크가 33.2%, 카카오뱅크가 31.5%를 기록했다. 3사 모두 지난해 4분기보다 오른 수치다.

토스뱅크의 중저신용자 대출 평균 잔액은 4조1900억원이다. 토스뱅크는 자체적인 신용평가모형 TSS(Toss SCoring System) 고도화에 지속적으로 투자해 상환능력이 있지만 기존 제도권에서 저평가된 건전한 중저신용자 발굴에 적극 나섰다고 설명했다. 인터넷은행 중 가장 먼저 실시한 비대면 개인사업자 대출과 햇살론 뱅크 출시 등을 통해 가장 높은 수준의 포용금융을 지속할 수 있었다고 덧붙였다.

케이뱅크는 올해 1분기 동안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3000억원이다. 2017년 4월 출범 후 올 1분기까지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6조3000억원이다. 케이뱅크는 비상금대출 이자 캐시백, 소상공인 이자 캐시백, 영세자영업자 긴급생계비 지원 등을 포용금융 실천을 위해 올해 1분기 실시했다. 신용평가모형 고도화를 위해 인터넷은행 최초로 네이버페이와 협업해 비금융데이터 기반 ‘네이버페이 스코어’를 지난 3월 도입했다. 이동통신 3사(SKT·KT·LG유플러스)의 신용평가 합작사 통신대안평가준비법인이 향후 선보일 통신데이터 기반 모형 ‘텔코CB’도 연내 도입한다.

카카오뱅크는 지난해 인터넷은행 중 유일하게 중저신용대출 확대 목표를 달성한데 이어 중저신용대출 잔액(개인사업자 포함, 1분기 평균 잔액 기준)이 역대 최고치인 4조6000억원을 넘어섰다. 누적 공급액은 11조3000억원에 이른다. 올해 1분기 공급한 신용대출에서 중저신용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5.5%다. 지난해 1분기에 비해 10%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올 1분기 인터넷은행 개인 중저신용대출 공급액 중 절반 가량을 카카오뱅크가 책임진 것으로도 분석된다.

경제금융부 오규민 기자 moh011@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