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와 품질' 강조한 고 김신권 한독 회장, 10주기 추모식 진행

한독은 30일 서울 강서구 한독퓨처콤플렉스에서 창업주 고(故) 제석(濟石) 김신권 회장의 서거 10주기를 맞아 추모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김영진 한독 회장이 30일 서울 강서구 한독퓨처콤플렉스에서 열린 창업주 고(故) 제석(濟石) 김신권 회장의 서거 10주기 맞이 추모식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제공=한독]

이번 10주기 추모식은 김영진 한독 회장 등 유가족을 비롯해 임직원 대표와 퇴직 임직원이 참석한 가운데 김신권 회장을 기리고 그의 유지를 되새기는 자리로 마련됐다. 또한 한독 임직원들은 지난 24일부터 1주일간 서울 본사와 연구소, 충북 생산공장과 한독의약박물관 제석홀에서 추모주간도 가졌다.

고 김신권 회장은 1922년 평북 의주에서 태어나 20세에는 중국 만주에서 약방을 개업하고 1954년 한독(전 한독약품)을 설립했다. 70년간 약업 외길 인생을 걸었으며 2014년 4월 30일 향년 92세로 타계했다. 추모식에서 김영진 회장은 “제 아버님이자 한독의 창업주이신 김신권 회장님께서 세운 한독이 올해로 창립 70주년을 맞았다”며 “긴 세월 동안 많은 변화가 있었지만 한독을 존경받는 기업으로 일궈 가시고자 했던 창업정신을 한독의 변치 않는 뿌리로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김신권 회장은 한국 제약산업의 선진화를 이끌고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이바지한 인물로 평가받는다. 세계적으로 뛰어난 제약기술을 가진 독일 훽스트와 기술제휴(1957년)와 합작(1964년)을 맺으며 일찍이 글로벌 비즈니스를 시작했고, '신뢰경영'과 ‘품질경영’으로 한독을 한국의 대표 제약사로 성장시켰다. 1975년에는 직원들을 권유해 노동조합을 만들고 자녀 학자금 지원, 무료 사내식당 운영 등을 도입했다.

고 김 회장은 사회공헌활동에도 앞장섰다. 1961년 한독장학회를 설립해 의약학 분야 우수 인재 양성을 지원하고 다양한 연구지원사업을 펼쳤고, 사라져 가는 의약학 사료를 보존하기 위해 1964년 국내 최초의 기업박물관이자 전문박물관인 한독의약박물관을 설립했다. 김신권 회장은 일선에서 물러난 후에도 2006년 자신의 아호인 제석을 딴 공익법인 한독제석재단을 출범해 문화사업, 장학사업, 연구지원사업 등 사회에 기여하는 활동들을 이어갈 수 있도록 했다.

바이오중기벤처부 이춘희 기자 spring@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