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1분기 반도체·자동차 수출 전망 '맑음'

한국무역협회 2024년 1분기 EBSI 발표

석유 제품을 제외한 반도체와 자동차 등 주요 품목의 내년 1분기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2024년 1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를 20일 발표했다. EBSI는 다음 분기 수출 경기에 대한 기업 전망을 드러내는 지표다. 100을 기준으로 전분기보다 개선(악화)될 것으로 예상하면 100보다 큰(작은) 값을 나타낸다.

내년 1분기 EBSI는 기준선(100)을 하회하는 97.2를 기록했다. 해당 분기 수출 환경이 좋지 않을 것으로 내다본 기업이 많았다. 다만 올해 4분기 EBSI(90.2)보다는 지수가 상승, 기준선에 접근하면서 업계 수출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조금씩 커지는 모습이다.

품목별로 보면 ▲반도체(103.4) ▲자동차·부품(102.4) ▲무선통신기기·부품(110.9) 등 8개 품목의 내년 1분기 수출 여건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석유 제품(67.8)은 국제 유가 하락과 환율 변동 등의 영향으로 수출 여건이 악화될 전망이다. 석유 항목을 제외한 내년 1분기 EBSI는 100.4로 상승한다.

항목 별로는 ▲수출상담·계약(108.3) ▲국제 수급(101.0) ▲제조 원가(100.3) 등 3개 항목 지수가 100을 상회, 해외 수요 및 수급 여건이 호전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반영했다.

응답 기업은 내년 1분기 수출 애로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19.6%) ▲수출국 경기 부진(16.9%) ▲바이어 가격 인하(12.9%) 등을 꼽았다. 원자재 가격의 경우 3개 분기 연속 수출 기업의 최대 애로사항으로 지목됐다.

무협은 중국 포함 개도국의 시장 잠식과 바이어의 가격 인하 요구 등의 애로를 호소하는 기업 비중이 늘어난 것에 주목, 내년에도 개도국과의 수출 경함 및 채산성 악화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김나율 무협 연구원은 "수출 기업의 장기 계약 및 수입선 전환 노력과 더불어 정부가 할당 관세 연장, 공공 비축 확대, 수입 부가세 납부 유예 요건 완화 등을 통해 수출 기업의 채산성이 개선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산업IT부 김평화 기자 peac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