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7년까지 'AI·빅데이터' 인력 3만2400명 부족'

주요 신기술분야 인력수급 전망 결과

2027년까지 향후 5년간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분야에서 3만2400명의 신규인력이 부족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31일 고용노동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은 제4차 신기술 인력수급 포럼을 열고 AI·빅데이터·클라우드·나노 등 4개 주요 신기술분야에 대한 2027년까지의 인력수급 전망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결과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이 실시한 산업별 실태조사를 바탕으로 인력전망모형을 활용해 인력수요를 도출하고, 정부·민간·대학의 인력양성 현황과 계획을 토대로 인력공급을 분석해 향후 5년간(2023~2027년)의 수준별(초·중·고) 신규인력 수요·공급 및 수급차를 전망한 것이다. 수준은 학력을 기준으로 초급(전문학사 이하)과 중급(학사 수준), 고급(석·박사 이상)으로 분류했다.

이에 따르면 AI 분야의 경우 2027년까지 1만2800명이 부족한 것으로 전망됐다. 의료·금융·제조·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AI 활용이 확대되고 있고, 국제적으로 AI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상황으로 고급인력 해외유출 우려 등 고급수준 인력난이 심화할 전망이다.

운영부터 개발 전반의 인력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클라우드 분야는 1만8800명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된다. 서버·소프트웨어 등 클라우드 서비스 확산 및 지속적인 시장 성장으로 인력 부족이 심화하하고, 특히 서버의 관리·보수 등을 위한 운영인력과 시스템 개발인력 모두 부족한 상황이다. '융합데이터전문가'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빅데이터 분야는 1만9600명이, 첨단산업 성장으로 '응용기술인력' 수요가 늘고 있는 나노 분야는 8400명이 부족할 전망이다.

김성호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정부는 신기술분야 인력수급 전망결과를 K-디지털 트레이닝 등 정부 훈련사업의 규모와 내용 등에 적극 반영하고, 범부처 '첨단산업 인재양성 태스크포스(TF)'를 통해 관련부처와 함께 신기술분야 인력양성을 위해 노력하겠다"며 "중소기업과 스타트업 기업은 인력유출로 인한 인력난이 더욱 심각하므로, 청년층에 적합한 근로여건, 조직문화 등을 기업 스스로 조성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자료사진)

세종중부취재본부 세종=주상돈 기자 d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