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사장단 회의 앞둔 LG…전장·배터리 더 중요해졌다

LG㈜를 끝으로 상반기 실적 발표를 마무리한 LG그룹이 다음달 사장단 회의를 열고 하반기 경영 상황 및 미래 포트폴리오 점검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가전에 대한 수요가 주춤해진 시기에 '선택과 집중' 전략에 따라 전장·배터리 사업을 강화하고 ABC(인공지능·바이오·클린테크) 등 미래 사업을 키우기로 한 만큼 하반기 이에대한 실행 상황 및 포트폴리오 점검, 전략 보완 등의 작업이 뒤따를 전망이다.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대표로 있는 LG㈜는 배당과 상표권을 주 수익으로 하는 상반기 실적으로 매출 3조5484억원, 영업이익 9596억원을 기록했다. 불확실한 경영환경으로 상반기 실적이 고꾸라진 다른 기업들보다는 선방했지만 수익성이 과거보다 악화하면서 사업 재편을 통해 수익성을 끌어올려야 하는 구 회장의 고민이 커졌다.

하반기 경영 초점을 수익성 강화와 미래 사업 영역 확대에 맞출 가능성이 크다는 얘기다. LG그룹은 크게 LG전자·LG디스플레이·LG이노텍·로보스타 등 전자계열사, LG화학·LG에너지솔루션·LG생활건강 등 화학계열사, LG유플러스·LG헬로비전 등 통신·서비스 계열사 3부류로 나눌 수 있다. 전혀 성격이 다른 분야지만 LG는 이 모든 계열사 실적을 동시에 끌어 올릴 수 있는 사업을 찾았다. 바로 미래자동차다. 전자는 자동차 부품, 화학은 배터리, 통신은 자율주행 보조 사업을 하는 식이다. 전장·배터리 사업 비중을 확대할수록 전체 계열사의 수익성이 높아질 수 있다는 뜻이다.

LG전자는 지난해 65조원(LG이노텍 제외) 수준이었던 매출액 규모를 2030년까지 100조원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기업의 DNA를 하드웨어(HW) 중심에서 '고객경험'을 확장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SW) 중심으로 바꾸고 전장사업에서 새로운 기회를 포착하고 있다. 특히 전장사업은 자율주행, SW 솔루션, 콘텐츠 등 미래 모빌리티 영역의 신규 기회를 적극 모색해 2030년까지 20조원 규모의 글로벌 톱10으로 진화시킬 계획이다.

다음달 독일 뮌헨에서 열리는 모터쇼 'IAA 모빌리티 2023'에 처음으로 출전하기로 한 것도 하반기 전장 사업에 속도를 내기 위해서다. 석유화학 업황 악화를 겪고 있는 LG화학은 하반기 사업재편에 힘을 줄 전망이다. 석유화학 비중을 줄이고 이차전지 신사업 전개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올해 글로벌 배터리 시장 규모가 작년 보다 33%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에서 LG에너지솔루션은 하반기 북미 시장을 중심으로 생산능력 확대와 시장 선점 가속화에 나선다.

구 회장이 10년 이후 LG를 책임질 수 있는 미래 먹거리로 꼽은 AI·바이오·클린테크도 하반기 투자 확대 및 전략 보완이 필요한 분야다. 신사업에 속하는 만큼 아직 '수확'보다는 '투자'가 더 많아 포트폴리오에서 정확한 방향 설계가 더 중요해졌다. 구 회장은 다음달 각 계열사 사장단 및 사업본부장들을 소집해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경영 현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분기에 한번씩 LG트윈타워에서 진행하는 정기 사장단회의 형식이 아닌, 별도의 워크숍 형태가 될 가능성도 크다. 구 회장은 지난해 9월 회의에서 사장단에게 미래 고객 관점에서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바 있다. 이에따라 이번 회의에서도 그룹 차원의 미래 포트폴리오 점검과 실행전략이 집중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또 10~11월 계열사별로 한 해의 사업 성과와 내년도 사업 계획을 논의하는 사업보고회의를 앞두고 있어 사장단 워크숍에서 사업보고회의 방향성도 결정할 전망이다.

한편 LG CNS의 코스피 상장도 하반기 기대를 모으고 있는 LG그룹의 큰 이벤트다. LG CNS는 당초 상반기 기업공개(IPO) 신청을 염두에 두고 KB증권, 뱅크오브아메리카(BOA), 모건스탠리 등을 상장 주관사로 선정해 상장 준비 작업에 나섰다. 하지만 최근 주식시장 분위기가 좋지 않아 상장 시기를 조율 중이다.

산업IT부 박선미 기자 psm8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