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현역 흉기 난동 사건에 유통업체 때아닌 비상

안전요원 확충 등 보안 강화
직원 대상 관련 교육도 실시

분당 서현역 인근에서 '묻지마' 흉기 난동 사건이 발생하면서 유통업계에 때아닌 비상이 걸렸다. 서현역 사건이 백화점과 연결된 공간에서 발생한 만큼 각 유통 업체들은 보안 강화를 위한 노력으로 분주하다.

흉기난동 모방성 협박이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4일 오후 분당 오리역에서 경찰 기동대원들이 경비를 하고 있다. 사진=허영한 기자 younghan@

4일 업계에 따르면, 전날 14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분당 묻지마 흉기 난동' 사건 이후 유통업체들은 안전 관리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현장 안전요원을 확대해 점포 주변 순찰을 강화하는 한편, 경찰 등과 핫라인을 유지하며 유사 상황 발생을 대비하고 있다.

롯데월드타워 관리를 담당하는 롯데물산은 이날 새벽부터 자체 보안 강화에 나섰다. 보안 및 대테러 인력을 130명까지 증원해 외부 순찰을 강화했다. 분당 묻지마 흉기 난동 사건 발생 당일 오후 7시께 인터넷 커뮤니티에 "내일 아침 잠실역에서 20명을 죽일 거다"라는 협박 글이 올라오면서 선제적 조치를 단행한 것이다.

롯데는 이 밖에도 백화점과 마트를 중심으로 전 유통군이 안전과 보안 관리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안전요원들은 수트를 벗어던지고 방검복을 입은 채 혹시 모를 비상상황에 대비 중이다. 롯데 유통군 관계자는 "직원들을 대상으로도 긴급 상황 발생 시 상황 전파 및 신고 요령, 대피장소로의 원활한 안내 방법을 교육할 방침"이라고 했다.

신세계와 현대백화점도 점포별 보안 관리 수준을 높이고 있다. 평소보다 안전요원 수를 20% 이상 늘리고 인근 경찰서와 연계해 경계 태세를 갖췄다. 안전 요원들에게는 삼단봉 등 지급하고 마찬가지로 순찰을 강화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한다는 방침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안전용품 구비 등 고객 안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보안요원이 확충된다고 해도, 전날 분당 묻지마 흉기 난동 사건과 같은 범죄를 예방할 방도가 없다는 점은 업계의 걱정을 키우는 부분이다. 현행법상 흉기 소지를 인지해도 범죄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제압이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현행 형사소송법은 '현행범'에 대해서만 누구든지 영장 없이 체포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제압은 사실상 경찰만 할 수 있다"며 "우리는 고객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제재하는 게 최선인 상황"이라고 했다.

유통경제부 조성필 기자 gatozz@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