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홀딩스 '수소환원제철 양자컴퓨터로 만든다'

포스코그룹 'AI기술'과 '양자컴퓨터' 접목
프랑스 파스칼·한국 큐노바와 협력하기로
고체전해질 등 이차전지 소재 특성분석도

홀딩스가 국내외 양자컴퓨터 전문기업과 손잡고 그룹 신성장 사업에 필요한 기술 선점에 나섰다.

포스코홀딩스는 26~29일 서울 중구 동대문디자인프라자에서 열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퀀텀 코리아 2023’행사에서 프랑스 파스칼, 큐노바와 양자컴퓨터 기술 개발에 협력하기로 했다. 포스코홀딩스와 파스칼은 각각 '양자컴퓨팅산업 선도기업연합' 회장사, 부회장사를 맡고 있다.

파스칼은 지난해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알랭 아스페 파리 사클레대 교수가 창업한 프랑스 양자컴퓨터 개발 기업이다. 양자컴퓨터용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개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다. 큐노바는 국내 최초 양자컴퓨터 벤처기업이다. 신소재와 신약 등 개발을 위한 양자컴퓨팅 소프트웨어 개발에 강하다.

포스코홀딩스는 포스코그룹이 보유한 AI기술과 파스칼의 양자컴퓨터 기술을 접목해 친환경 제철에 사용되는 수소 생산공정 최적화와 이차전지 소재 개발 등에 주력할 계획이다.

김지용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장(오른쪽)이 지난달 23일 서울 미래기술연구원에서 조르주 올리비에 레이몽 파스칼 CEO를 만나 양자컴퓨터 협력에 대해 논의한 뒤 악수하는 모습 [사진제공=포스코홀딩스]

양자컴퓨터는 입자가 동시에 두 가지 상태로 공존하거나 멀리 있는 두 입자가 동일한 상태로 얽혀있는 등 고전물리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양자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해 기존 컴퓨터를 뛰어넘는 빠른 연산을 할 수 있다. 상업적인 개발이 완료되면 슈퍼컴퓨터가 풀지 못하는 인류 식량, 건강 등 난제를 해결하고 자동차, 화학, 의료, 물류, 금융 등 다양한 분야 혁신을 가져올 수 있다. 양자 분야는 정부가 지난해 발표한 12대 국가전략기술 중 하나로 선정됐다.

포스코홀딩스를 주축으로 하는 컨소시엄이 한국연구재단 '양자컴퓨팅 기반 양자이득 도전 연구사업'에 공모해 지난 4월 국책과제에 선정됐다. 포스코홀딩스 컨소시엄은 '양자컴퓨팅 기반 친환경 소재 설계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 과제에 약 3년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예산 27억5000만원을 지원받으며 양자컴퓨터를 활용해 고체전해질 등 소재 특성 분석 정확도를 높이고 소요시간을 줄이는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김지용 포스코홀딩스 미래기술연구원장(포스코그룹 CTO)은 “그룹 주력 사업인 제철과 친환경 미래소재 기술개발에 양자컴퓨터 기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조르주 올리비에 레이몽 파스칼 최고경영자(CEO)는 “양자컴퓨터는 종전 컴퓨터로는 다루기 힘들었던 연산 작업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지녔다”고 했다. 이준구 큐노바 CEO는 “이번 협력으로 큐노바의 양자알고리즘을 통해 기존 슈퍼컴퓨터의 한계를 극복하고 신소재 디자인을 찾아내 사업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3사는 앞으로 주기적인 기술교류회를 열 예정이다.

산업IT부 최서윤 기자 sychoi@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