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래도 주차할거야?…1시간 9만원' 인천 건물주의 사연

오피스텔 건물 일 최대 이용료 216만원
"외부차량 막으려고 일부러 고가 책정"

인천에 위치한 한 오피스텔의 외부 차량 주차비가 10분에 1만5000원, 즉 한 시간에 9만원으로 책정된 사연이 화제다. 해당 오피스텔 측은 외부 차량 유입을 막기 위해 사실상 요금 징수를 포기하고 이처럼 높은 주차비를 책정했다고 설명했다.

2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인천시 남동구 한 오피스텔 주차장의 1시간 주차비는 9만원이다. 이 주차장은 10분당 1만5000원의 요금을 받고 있다.

2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인천시 남동구 한 오피스텔 주차장의 1시간 주차비는 9만원이다. 이 주차장은 10분당 1만5000원의 요금을 받고 있다. [사진출처=연합뉴스]

이곳에 업무차 들렀던 A씨는 오피스텔 주차장을 1시간 이용했다가 요금 정산기에 9만원이 찍혀 화들짝 놀랐다고 한다. 그는 주차장 출입구에 ‘기본 10분당 1만5000원’이라고 적힌 문구를 뒤늦게 확인했다고 했다.

A씨는 "호출 버튼을 누르고 자초지종을 설명했더니 다행히 요금을 받지는 않았다"며 "하마터면 낭패를 볼 뻔했다"고 털어놨다. 실제로 오피스텔 측은 민간업체에 주차장을 위탁해 24시간 무인 시설로 운영하면서 10분당 1만5000원의 요금을 받고 있었다.

일반적인 주차장과 달리 1일 요금 상한선도 설정하지 않아 만일 24시간을 주차할 경우 최대 216만원 상당의 주차비가 발생할 수 있다. 이 오피스텔은 특히 세입자나 상가 이용객이 아닌 외부 차량의 경우 면제나 할인 혜택도 제공하지 않는다.

주차장 관리업체는 연합뉴스에 "현재 해당 오피스텔 주차장에서 적용되는 요금이 맞다"며 "건물주가 직접 정한 금액"이라고 설명했다.

고가의 주차비, 세입자와 상가 이용객의 주차 공간 확보 차원

이 오피스텔이 처음부터 이렇게 고가의 주차비 요금을 받지는 않았다. 올해 초에는 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했지만 외부 차량 관리에 어려움이 생기자 30분당 3000원을 받았다. 그런데도 외부 차량 유입은 계속됐고 이를 막기 위해 높은 요금을 책정할 수 밖에 없었다는 게 오피스텔 측의 설명이다.[사진출처=연합뉴스]

주차비가 유독 비싼 이유에 대해서는 세입자와 상가 이용객의 주차 공간 확보 차원이라고 말했다.

물론 이 오피스텔이 처음부터 이렇게 고가의 주차비 요금을 받지는 않았다. 올해 초에는 주차장을 무료로 개방했지만, 외부 차량 관리에 어려움이 생기자 30분당 3000원을 받았다. 그러나 외부 차량 유입은 계속됐고 이를 막기 위해 높은 요금을 책정할 수밖에 없었다는 게 오피스텔 측의 설명이다.

오피스텔 관계자는 "건물과 관련 없는 차량이 주차하지 않도록 조치하는 것이지 수익을 낼 의도는 없었다"며 "사실상 요금 징수를 포기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A씨의 사례처럼 사정을 얘기하면 요금을 받지 않기도 하지만 아무런 호출 없이 요금을 내고 가면 달리 방법이 없다고 했다.

한편, 이 오피스텔과 같이 아무리 높은 주차비를 책정하더라도 현행법상 이를 방지할 법적 근거는 부족한 실정이다. 주차장법상 부설 주차장의 경우 관리자가 주차장 이용객으로부터 요금을 받을 수 있으나 징수 기준에 대한 별도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결국 사설 주차장 이용 시에는 요금표를 제대로 확인하는 수밖에 없다.

이슈2팀 방제일 기자 zeilis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