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생산성 하락세 뚜렷…'공급망안정화기본법' 통과시켜야'

한경연, '중국의 정치·경제리스크와 한국경제에 대한 시사점' 발표
중국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OECD 비해 1.8%p 낮아
중국의 자립경제 전략, 총요소생산성에 부정적 영향

높은 부채부담과 생산성 저하라는 중국의 구조적 리스크로 인해 장기적으로 한국경제의 중국 비중 축소는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16일 '중국의 정치·경제리스크와 한국경제에 대한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보고서는 흔히 중국의 구조적 리스크를 얘기할 때 민간과 공공의 과도한 채무부담이 거론되지만 보다 근본적 리스크는 생산성의 저하라고 평가했다. 이어 생산성에 있어 중국의 보다 근원적 리스크는 총요소생산성의 하락이라며 그 하락세가 매우 가파르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경우 총요소생산성은 중국 경제성장의 큰 부문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소득 수준이 높아질수록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하락하는 경향이 있음에도, 2015년에서 2019년 사이 중국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비슷한 소득 수준의 국가뿐 아니라 소득 수준이 높은 OECD 국가들과 비교해도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PWT(Penn World Table)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여러 국가들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과 인당 소득 간의 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중국의 총요소생산성 증가율(2015~2019년 평균)은 동 기간 OECD 국가 평균보다도 1.8%P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과 OECD 국가의 인당 소득과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붉은 선은 소득 수준별 총요소생산성 증가율 평균을 나타냄. [자료 제공=한경연]

보고서는 중국은 미·중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자립경제 전략을 추구하고 있는데 이 또한 총요소생산성에는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태규 선임연구위원은 "수입은 무역수지 측면에서는 마이너스(-) 효과가 있지만 수입품이 국내 산업에 미치는 지식파급 효과가 있으며 이는 총요소생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1980년부터의 통계를 사용해 분석한 결과 중국의 경우 평균적으로 수입 비중이 1%P 감소하면 총요소생산성 증가율은 약 0.3%P 정도 감소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이와 함께 중국 쌍순환 전략의 국제순환이 중국의 우호국 중심으로 진행된다면 이 역시 총요소생산성 제고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미·중 갈등으로 강제되는 측면을 제외하더라도 중국의 생산성 저하에 따른 장기 성장률 하락으로 인해 한국경제의 중국 비중 축소는 불가피한 상황이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보고서는 중국경제 펀더멘탈에 따른 중국 비중 축소는 기업의 합리적 선택의 결과지만 미·중 갈등에 따른 강제적 중국 비중 축소는 기업에 상당한 비용과 비효율성을 초래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전략상품 또는 경제안보 품목으로 지정되어 공급망 재조정이 강제되는 경우 기업은 상당한 부담을 수반하므로 적절한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에 현재 국회 계류 중인 '공급망안정화기본법'(경제안보를 위한 공급망 안정화 지원 기본법)의 조속한 처리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일본보다 중국에 대한 의존도가 더 큰 우리나라가 공급망 안정화 지원체계 구축에 빨리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동 법의 조속한 국회 심사와 처리를 요구했다.

산업IT부 한예주 기자 dpwngks@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