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콕!건강]망가진 간의 마지막 희망 '간이식'…언제 어떻게

간 이식은 1994년 다른 사람의 간 일부를 이식받는 생체 간 이식이 가능해지며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간 이식은 망가진 간의 마지막 회복법으로도 불린다. 신현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이승환 소화기외과 교수에게 간 이식은 언제, 어떻게 시행하는지 등에 대해 알아봤다.

왼쪽부터 신현필 강동경희대학교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이승환 소화기외과 교수

간 이식은 간 손상이 급격히 진행돼 이식받지 않으면 수일~수주 내 사망할 수 있을 때 진행한다. 대표적으로 급성간부전으로 의식 저하를 가져오는 간성뇌증, 신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간신 증후군, 식도나 위에서의 출혈, 복수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을 때다. 또 다른 경우는 만성간질환에 의한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간부전이 호전되지 않거나 그 합병증으로 인해 관리할 수 없을 때다.

신현필 교수는 “만성 간질환자 중 간 기능이 많이 떨어진 환자에서 비교적 조기에 간암이 발견된 경우에는 간 이식을 받게 된다. 간암의 경우에는 간 외 전이가 없고 초기 간암일 때 수술해야 간암 재발률이 낮으므로 이식 수술이 가능한 경우라면 서둘러 진행하는 것이 좋다”라고 했다.

최근 수술의 발달 등으로 3년 생존률은 80% 이상으로 보고돼 있다. 이승환 교수는 “수술에 성공하면 단순히 몇 년 더 사는 정도가 아니라 평생 건강하게 지낼 수 있다”며 “경험이 늘어나면서 최근 간 이식 대상 환자의 폭이 점차 넓어지고 있으며, 이전에는 꺼렸던 60세 이상 환자의 수술도 성공률이 높아져 간 이식에 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간은 두 가지 방법으로 수혜받을 수 있다. 기증자가 뇌사자인 경우 간 전부를 적출해 이식하는 방법으로 응급도에 따라 순위가 정해진다. 다른 방법은 건강한 기증자의 간 일부를 이식하는 경우다.

많은 혈관을 잇는 어려운 수술인 만큼 간 이식 후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새로운 간이 기능을 잘하지 못하거나, 적절한 혈액 응고 인자를 생성하지 못하게 돼 복강 내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합병증은 시간이 지나며 자연히 없어지거나, 추가 치료 혹은 새로운 간으로 재이식받아야 할 수 있다.

간 이식에서 기증하는 사람은 본래 건강한 사람이기에 기증자의 안전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우리나라에서는 가족이나 친척이 간을 기증하는 생체 간 이식이 활발하다. 간 기증자는 동반된 만성 간질환이 없는 60세 이하 환자로 기증 후에 남은 간의 용적이 30% 이상이, 지방간 정도가 30% 미만인 사람으로 한다. 해외에서는 사망률이 1000명에 2~5명 정도로 보지만 우리나라의 이식 수술에 기증자가 사망하는 경우는 이보다 적게 발생한다.

바이오헬스부 변선진 기자 sj@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