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경조기자
"새만금에 이차전지 산업 가치사슬을 완성할, 최종제 '팩'을 만드는 대형 업체를 유치하려고 작업하고 있다."(김규현 새만금개발청 청장)
새만금에 볕이 들었다. 새만금 사업이 현 정부 국정과제에 반영되면서 지난해 5월 출범 이후 1년간 4조2000억원의 투자 유치 성과를 거둔 것이다. 이는 2013년 9월 새만금개발청 개청 이후 9년간의 실적(1조5000억원)보다 3배가량 많다.
오는 7월 예정된 국제투자진흥지구 지정은 여기에 날개를 달아줄 전망이다. 법인세·소득세를 3년간 100%+2년간 50% 감면하는 세제 혜택이 제공되기 때문이다.
◆인허가·세제 혜택·확장성…이차전지 기업들 새만금으로
지난달 31일 찾은 새만금은 아직 비워진 땅이 많았다. 일부는 매립이 진행 중이었다. 그럼에도 어느 때보다 높은 인기를 실감하고 있다고 새만금개발청은 전했다. 국가산업단지에 입주를 원하는 기업이 늘어나고 있어서다.
특히 이차전지 기업들이 속속 몰려들면서 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있다. 새만금개발청에 따르면 현재까지 이차전지 기업은 총 21개사가 입주(예정 포함)했다.
김규현 청장은 "이차전지 시장의 성장 지속 가능성은 2025년을 변곡점으로 한다. 그 전에 공장을 많이 짓고 인프라를 갖춰 세계 시장 점유율을 점하지 않으면 어렵다는 것"이라며 "세제 혜택은 국제투자진흥지구 지정에 따른 유효기간(5년)이 끝나도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재정당국과 협의해 연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피캠텍은 국가산단 1공구에 발을 들였다. 투자금액은 1200억원으로, 1공구 내 부지 3만2500㎡를 매입했다. 이성권 이피캠텍 대표는 "이차전지 핵심 소재인 전해질 증산을 위해 투자를 결정했다"며 "인허가는 물론이고 전기 등 설비도 문제가 없어 빠르게 입주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본사가 있는 충북 음성군 일대와 구미 등 경상도 지역, 인천까지 둘러봤지만, 새만금만큼 마음에 드는 곳은 찾지 못했다고 했다. 이 대표는 "세제 혜택도 컸지만 '확장성' 측면에서 새만금이 가장 적합했다"고 부연했다.
애로사항도 있다. 정주 여건이 갖춰지지 않아 발생하는 인력 유출 문제다. 산단 근처에 아파트가 겨우 1채뿐이고, 즐길 거리도 마땅치 않아 미혼의 젊은 직원들이 떠나는 경우가 더러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김 청장은 "내년 준공 예정인 새만금~전주 고속도로가 개통되면 30분 내 이동이 가능해지고, 확보해 놓은 예산으로 통근버스도 운영할 계획"이라며 "산단 교통 관련해선 지방자치단체들의 많은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남북도로·스마트 수변도시 등 정주 인프라도 '척척'
7월 새만금에서는 남북도로 미개통 구간도 뚫린다. 전북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군산시 오식도동(27.1㎞)을 잇는 남북도로는 왕복 6차선으로 새만금 산업연구용지, 복합개발용지, 관광레저용지 등을 연결하는 간선 기능을 한다.
현장은 막바지 공사가 한창이었고, 동서도로와도 교차하는 지점에는 '리버스 아치교'가 있었다. 새만금 신공항의 고도 제한을 고려해 둥그렇게 위로 솟는 아치 모양을 엎어놨다고 한다.
앞서 2020년 개통한 동서도로는 새만금 신항만과 이어지는데 일대 스마트 수변도시 개발을 위한 매립공사가 완료 단계였다. 정주인구 2만5000명(1만가구)에 2027년 첫 입주를 목표로 한다.
강병재 새만금개발공사 사장은 "분양가는 개발이익 재투자까지 감안하면 너무 비싸진다. 인근 지역도 충분히 고려해 책정할 것"이라며 "산단 입주 기업이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데다 관광단지도 개발되면 도시 기능 수정이 필요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수변도시라고 하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이 떠오르기 마련인데 이보다 선진적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김 청장은 "'스마트'라는 명칭에 걸맞게 특화 분야도 고민 중"이라며 "교통, 로봇 등을 다 적용하면 조성원가가 워낙 비싸지기 때문에 적정선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새만금 개발은 총예산 22조원의 국책 사업이다. 새만금 방조제 안쪽 토지와 담수호를 합친 면적은 409㎢로 서울 면적(605㎢)의 3분의 2에 달한다. 사업은 4단계로 나누어 진행 중이며 2020년 1단계가 완료됐다. 2단계부터는 10년 주기로 해 2050년 마무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