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즈니 백년대계 중심축은 아태 이야기”

“지역적 특수성 돋보이는 분야 투자 강화"

“디즈니의 백년대계를 준비하는 중심축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이야기다.” 루크 강 월트디즈니컴퍼니 아태지역 총괄 사장이 밝힌 미래 구상이다. 30일(현지시간) 싱가포르 마리나베이 샌즈에서 열린 ‘디즈니 콘텐츠 쇼케이스 아시아태평양 2022’에서 아태 지역 이야기를 ‘화이트 스페이스(White space·공백)’로 규정하고 로컬 스토리텔링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표명했다.

이미 시동은 걸린 상태다. 올해 자사 스트리밍 서비스인 디즈니+를 통해 아태지역 콘텐츠 마흔다섯 편을 선보였다. 관련 스트리밍 시간이 지난해보다 여덟 배 이상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강 사장은 “아태지역에서 디즈니+ 등 스트리밍 서비스가 지속적 성장을 보인다”며 “긍정적인 미래가 예상된다”고 했다.

약진의 최대 동력은 한국 콘텐츠. 특히 드라마 ‘빅마우스’와 ‘사운드트랙 #1’, 예능 ‘인더숲: 우정여행’은 공개 첫 주 아태 지역에서 가장 많이 시청한 콘텐츠 톱(TOP)3에 이름을 올렸다. 강 사장은 “한국 드라마는 높은 작품성을 갖췄다”며 “지역적 특수성이 돋보이는 분야의 투자를 강화해 로컬 스토리텔링에 집중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새롭게 부상할 동력으로는 일본 애니메이션을 꼽았다. 밑바탕에는 일본 고단샤(講談社)와의 끈끈한 협력이 있다. 1909년 노마 세이지가 창립한 일본 출판사다. 대표작으로 ‘GTO’, ‘진격의 거인’, ‘일곱 개의 대죄’, ‘도쿄 리벤져스’, ‘더 파이팅’ 등이 있다.

강 사장은 “고단샤 만화를 원작으로 한 애니메이션은 이 분야 판도를 바꾸는 ‘게임 체인저’나 다름없다”며 “내년 1월 디즈니+에서 독점 공개되는 ‘도쿄 리벤져스’가 시발점이 될 것”이라고 자신했다.

싱가포르=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문화스포츠부 이종길 기자 leemea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