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한 환율, 美-멕시코 통화스와프 모델 주목…정부 '재무부 차원의 유동성 협력도 모색'

美, 멕시코와는 연준 외에도 재무부가 통화 스와프 체결

추경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왼쪽)과 재닛 옐런 미국 재무 장관이 19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미 재무장관회의에서 만나 악수하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아시아경제 세종=권해영 기자] 원·달러 환율이 1300원을 넘나들면서 정부가 미국과 통화 스와프(맞교환) 재체결 외에도 유사한 효과를 낼 수 있는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미국은 멕시코와는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와 별개로 재무부가 직접 통화안정기금(ESF)을 통한 통화 스와프를 체결하는데, 우리 정부는 이 같은 방식의 외환 안정 협력 모델도 살펴보는 것으로 전해졌다.

25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원·달러 환율 안정을 위해 한국은행과 미국 연준과의 통화 스와프 외에 미국 정부와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고 있다.

기재부 관계자는 "미국 중앙은행이 아닌 재무부 차원에서도 외환 시장 안정을 위해 직접 유동성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들이 있다"며 "한미 재무장관 회담의 후속 조치 차원으로 어떤 협력 방안들을 논의할 수 있는지 찾아보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9일 열린 한미 재무장관 회담에서 양측은 필요시 유동성 공급장치 등 협력 방안을 실행할 여력이 있다는 데 인식을 공유했다. 연준이 권한을 갖는 한미 통화 스와프 재개 가능성에 한 발 가까워진 발언인 동시에 재무부 차원의 유동성 공급 방안에 대해 논의할 수 있는 여지를 남겼다는 것이 정부의 설명이다.

정부 안팎에서는 미국 재무부가 통화안정기금(ESF)을 통해 멕시코와 통화 스와프를 체결한 사례가 그 중 하나로 거론된다. ESF는 미국 정부가 달러화 환율 관리를 위해 1934년부터 쌓아놓은 자금으로, 재무부 장관이 대통령 승인 아래 자금 사용에 대한 상당한 재량권을 갖는다. 우리나라와 비교하면 환율의 급격한 변동을 막고자 정부가 외환시장에 개입, 외환 매매를 조작하기 위해 조성하는 '외국환평형기금'과 유사하다.

미국 재무부는 ESF를 통해 1941년부터 멕시코와 통화 스와프를 체결했다. 1995년 멕시코 페소화 안정을 위해 ESF에서 120억달러(약 15조7000억원)를 지원하기도 했다. 미국 연준의 금리인상으로 신흥국 화폐 가치가 불안해지자 2018년에는 멕시코와 ESF를 통한 통화 스와프 규모를 90억달러(약 11조8000억원)로 종전 대비 세 배 가량 늘린 적도 있다. 연준 차원의 통화 스와프 체결과는 별개다.

미국이 달러화 유동성을 실제로 공급하지 않더라도 요즘과 같이 환율이 불안한 흐름을 이어갈 때 어떤 형태로든 한미 통화 스와프 체결은 안전판 기능을 할 수 있다. 우리 정부는 인수위원회 때부터 미국에 통화 스와프 재체결을 요청하는 등 외환 시장 안정 협력을 강화하려는 의지가 크다. 이에 따라 한은-연준 간 통화 스와프 재추진 외에도 ESF를 통한 외환 안정 협력 등 다양한 수단을 검토해 미국에 협력 의사를 타진할 것으로 보인다. 관건은 역시 미국이 받아들일지다.

기재부 관계자는 "미국 정부와 외환 시장 안정을 위한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해 논의해 나갈 예정으로 아직 구체화된 것은 없다"고 말했다.

세종=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세종=권해영 기자 rogueh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