엇박자 난 봄꽃 개화 시기…이른 벚꽃 만큼 기후 위기도 '성큼'

'춘서' 무색하게 뒤죽박죽 만개하는 봄꽃들
지구 평균 온도 상승으로 개화 시기 앞당겨져
1980년대 2.9도→최근 10년 4.2도 '상승'
'적산온도' 도달 빨라지며 개나리·진달래·벚꽃 동시 만개
매개 곤충의 활동 시기해 결국 생태계 질서까지 위협…'꿀벌 실종'까지
'수분' 돕는 꿀벌…사라지면 농작물 급감해 인간에게도 위기로 다가와

장안벚꽃안길. 기사 중 특정표현과 관계없음.

[아시아경제 윤슬기 기자] 기후변화는 봄꽃이 피는 순서마저 뒤죽박죽 섞어버렸다. '춘서'(春序)라는 말처럼 봄꽃은 순서대로 일정한 간격을 둔 채 개화하는 게 수백년간 이어져 온 자연의 질서였지만, 이상고온 현상으로 봄꽃들이 동시다발적으로 피는 현상이 관찰되기 시작한 지 오래다.

'춘서'는 봄꽃개화 순서를 이르는 말이다. 봄꽃 개화는 동백과 매화를 시작으로 산수유, 개나리, 진달래, 벚꽃, 철쭉 순이다. 하지만 몇년 전부터 기후변화로 동백, 개나리, 진달래, 매화, 벚꽃 등이 비슷한 시기에 만개하는 현상 나타나기 시작했다. 지구 평균 온도가 상승하면서 봄꽃들의 개화 시기가 앞당겨졌기 때문이다.

기상청이 지난해 발표한 '봄꽃 개화시기 경향'에 따르면 매화, 개나리, 진달래, 벚나무의 개화일이 1981~1990년에 비해 최근 30년(1991~2020년) 짧게는 6일, 길게는 21일까지 빨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포근한 봄 날씨를 보인 16일 서울 마포구 경의선숲길공원에 매화나무가 꽃망울을 터뜨리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1980년대 매화의 전국 평균 개화일은 매화의 경우 4월2일이었으나 3월12일로, 개나리는 3월 28일에서 3월 24일로, 진달래는 3월31일에서 3월26일로, 벚나무는 4월8일에서 4월2일로 개화일이 앞당겨졌다. 매화는 21일, 개나리는 4일, 진달래는 5일, 벚나무는 6일 빨라진 것이다. 이에 대해 기상청은 봄꽃 개화에 영향을 주는 2~3월 평균기온이 1980년대 2.9도에서 최근 10년 4.2도로 상승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통상 개나리와 진달래, 벚꽃 개화 시기는 열흘 넘게 차이가 나지만, 평년 기온 순서가 높아지면서 봄꽃이 동시에 개화하는 현상도 나타난다. 식물은 저마다 일정 적산온도에 도달해야 꽃망울을 터트리는데 겨울철 이상고온 등의 영향으로 봄꽃의 개화 시기에 엇박자가 난 것이다.

문제는 봄꽃의 개화 시기가 앞당겨지면서 생태계 전반에 교란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꽃이 일찍 피고 지게 되면, 매개 곤충의 활동 시기도 변화하고 결국 생태계 질서에 위협을 끼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또 꽃가루를 암술로 옮겨 묻혀 열매를 맺도록 하는 꿀벌의 수분 활동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복수초 찾은 꿀벌. 사진은 기사 중 특정 표현과 관계없음.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최근 '꿀벌 실종' 사건도 기상이변 영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지난 13일 농촌진흥청이 발표한 월동벌 피해 합동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꿀벌 실종 사건의 주 원인은 지난해 발생한 해충인 꿀벌응애와 천적인 말벌이지만, 여기에 이상기상도 한몫했다. 11~12월의 기온이 높아 꽃이 일찍 피면서 일벌들이 꽃가루 채집에 나섰다가 체력이 소진돼 벌통으로 돌아오지 못했다는 추정이 나온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에 따르면 세계 100대 작물 중 71%가 꿀벌을 매개로 수분하고 있다. 꿀벌이 없으면 과일·채소 등 생장에 큰 타격 주게 되고, 생산량이 줄어들게 되면 인간의 삶도 큰 영향을 받게 된다. 인간이 초래한 이상 고온 현상이 개화 시기를 앞당기고, 이른 개화 시기는 꿀벌에게 영향을 미치며, 꿀벌이 사라져 망가진 생계는 곧 인간의 위기가 되는 것이다.

한편, 인간의 다양한 활동으로 인한 탄소 배출이 기후 위기를 일으키고 있다는 데 전 세계적인 공감대가 형성된 상황이다. 이에 전세계 140여개국이 2050년까지 배출하는 온실가스의 양과 제거하는 양의 합의 '0'되는 탄소 중립을 선언 또는 지지했다.

우리나라도 '2050 탄소중립국'을 목표로 세우고 관련 정책을 추진 중이다. 지난 25일부터 중장기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2018년 대비 40%로 명시한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법'이 시행되고 있다. 법이 시행되면서 우리나라는 2050 탄소중립 비전을 법제화한 14번째 국가가 됐다.

환경부와 2050 탄소중립위원회는 향후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극대화하는 사업을 최우선 지원하고, 녹색금융·기술개발 사업 등에도 투자 규모를 지속해서 확대해 탄소중립을 뒷받침하는 대표적인 재정 프로그램으로 안착·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이슈취재부 윤슬기 기자 seul97@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