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명 중 7명이 경험한 '안구건조증'…'스마트폰 사용 습관 바꿔야'

김안과병원 인식조사 결과
눈 자주 깜빡이고 휴식 필요

[아시아경제 이관주 기자] 국민 10명 중 7명이 '안구건조증'을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당수는 스마트폰, PC 등 전자기기를 사용할 때 안구건조증을 느꼈다.

21일 김안과병원이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인식조사 결과를 보면, 응답자의 74.1%가 안구건조증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이 가운데 514명(69.4%·복수응답)은 스마트폰·태블릿·PC 등 기기 사용 시 안구건조증을 느꼈다. 이어 냉난방 기기 사용(43.3%), 바람이 불 때(38%), 독서(21.2%), 렌즈 착용(16.3%) 시 안구건조증을 경험하는 비율이 높았다.

안구건조증은 스마트폰 관련 6대 질환 중 하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스마트폰 관련 질환 진료비는 총 5871억원으로 5년 전과 비교하면 51.7% 증가했다. 이 중 1위 질환이 바로 안구건조증(1282만명)이다.

스마트폰과 PC를 오래, 자주 사용할 경우 화면에 집중하는 동안 눈을 깜빡이는 횟수가 줄어든다. 깜빡임이 줄어들면 눈물막에 영향을 미치고 눈물이 쉽게 증발한다. 우리 눈은 보통 1분에 15~20회 정도 깜빡이지만,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동안 이 횟수는 3분의 1 정도로 줄어든다.

안구건조증을 예방·관리하기 위해서는 평상시 스마트폰 사용습관을 되돌아보고 적극적으로 교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디지털 기기를 사용할 때는 주기적으로 눈을 깜빡이고 화면에서 눈을 돌려 먼 곳을 바라보는 등 의도적으로 눈에 휴식을 줘야 한다. 또 아침에 일어나자마자 스마트폰을 보는 것은 이미 밤 사이 자는 동안 건조해진 눈을 더욱 건조하게 할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게 좋다. 온찜질과 눈꺼풀 청소를 주기적으로 하면 눈꺼풀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지방층을 회복시켜 안구건조증을 완화할 수 있다.

증상이 개선되지 않으면 안과를 방문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결막염, 당뇨망막병증, 갑상선안병증 등 다른 안질환이 있다면 안구건조증 방치 시 질환이 악화될 수 있어 더욱 주의해야 한다. 안구건조증 치료 방법으로는 인공누액 처방이나 약물치료 외에도 눈꺼풀 염증을 치료하는 적외선 치료와 눈꺼풀에 빛을 이용한 열을 침투시켜 굳어진 기름층을 녹여주는 IPL 레이저 등이 있다.

고경민 김안과병원 각막센터장(안과 전문의)은 “최근 코로나19 유행으로 외부활동 대신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면서 디지털 기기 사용도 급증한 만큼 안구건조증으로 안과를 찾는 환자의 비율도 크게 늘었다”며 “일상생활의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현대인의 필수품이 된 스마트폰 사용 습관부터 교정하는 것이 안구건조증 개선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바이오헬스부 이관주 기자 leekj5@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