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5~11세 방역패스 시행 검토 안해… 백신 접종은 준비 중'

21일 서울 노원구보건소 코로나19 선별진료소가 검사를 받으려는 시민들로 북적이고 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이날 0시 기준 신규 확진자 수가 5202명 늘어 누적 57만5615명이라고 밝혔다. 위중증 환자는 1022명이다. 역대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문호남 기자 munonam@

[아시아경제 김대현 기자] 코로나19 방역 당국이 5~11세 어린이를 대상으로는 현재 접종증명·음성확인제(방역패스) 도입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21일 홍정익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 접종관리팀장은 이날 오후 열린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백브리핑에서 이같이 전했다.

5~11세 백신 사용에 대한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 허가는 내년 초 나올 것으로 전망됐다. 홍 팀장은 "아직 5∼11세에 대한 구체적인 접종 계획을 수립하고 있지는 않지만, 접종에 대비한 준비를 하고 있다"며 "현재 5∼11세 접종을 승인하거나 시행하는 해외 사례가 점점 늘고 있어 대비가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실제 접종을 시행할 경우 국민 수용성도 고려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국내에서 개발한 코로나19 항체치료제 렉키로나주가 중증 진행률을 80% 가까이 낮춘다는 연구 결과도 이날 함께 소개됐다. 방대본 관계자는 "지난해 12월부터 지난 5월까지 코로나19 고위험군 확진자 중 경증 및 중등증 환자 778명을 모집해 항체치료제의 중증진행률 예방 효과를 분석했다"며 "렉키로나주를 사용한 환자군 234명 가운데 5명만이 중증으로 악화해 중증 진행률은 2.1%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항체치료제를 사용하지 않은 대증요법 치료군은 544명이었고, 이중 52명(9.6%)이 중증으로 악화됐다.

아울러 올해 안으로 국내 공급 예정이던 미국 제약사 노바백스 백신 4000만회분은 내년 도입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 팀장은 "식약처 허가가 나지 않아 내년으로 전량 이월된다"며 "허가 이후 신청해 사용 가능한 상태로 공급받으려 한다"고 했다.

오미크론 코로나19 변이 진단키트의 상용화는 이달 말 가능할 전망이다. 앞서 바이오니아·씨젠 등 국내 기업에서 오미크론 판별 감지를 위한 키트 개발에 나섰고, 질병관리청은 관련 시제품에 대한 최종 유효성 검증에 돌입한 상태다.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김대현 기자 kd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