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ar_progress

글자크기 설정

닫기

라인야후 "시스템 분리 앞당긴다"…'네이버 지우기' 속도(종합)

시계아이콘읽는 시간1분 8초
뉴스듣기 글자크기

시스템 분리 연내 완료로 앞당겨
서비스 영역도 네이버와 결별
네이버 영향력 축소 속 지분 매각 협상

라인야후가 네이버와 관계 단절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시스템 분리 시기를 앞당기고 서비스 협업도 가능한 빠른 시점에 중단한다는 방침이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라인야후 지분 매각을 논의 중인 가운데 라인야후에선 네이버의 영향력이 급격히 줄어드는 모습이다.


18일 이데자와 다케시시 라인야후 최고경영자(CEO)는 일본 도쿄 라인야후 본사에서 열린 정기 주주총회에서 "네이버클라우드에 위탁했던 직원용 시스템과 인증 등의 분리 작업을 연내 완료하겠다"고 밝혔다.

라인야후 "시스템 분리 앞당긴다"…'네이버 지우기' 속도(종합)
AD


라인야후는 그간 시스템 개발과 운용, 보수 등을 네이버클라우드에 위탁했다. 당초 2026년까지 네이버와 시스템을 분리할 계획이었으나 이를 앞당기는 것이다.


서비스 영역에서도 업무 위탁 관계를 종료하겠다는 방침이다. 일본 포털 사이트 '야후재팬'의 웹사이트 검색 개발 인증에서 네이버와 협력을 끝내는 것을 포함해 거의 모든 일본 사업 영역에서 네이버와 위탁 관계를 종료하겠다고 이데자와 CEO는 설명했다.


라인야후는 이날 주총에서 '라인의 아버지'로 불리는 네이버 측 인사 신중호 최고제품책임자(CPO)를 이사회에서 제외하는 안건을 통과시켰다. 이사회 구성은 사내이사 4명·사외이사 3명에서 사내이사 2명·사외이사 4명으로 바꿨다. 이에 따라 이사회는 전원 일본인으로 채워졌다.


다만 지분매각 이슈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언급을 하지 않았다. 라인야후 최대주주는 지분 64.5%를 보유한 A홀딩스다.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A홀딩스 지분 50%씩을 보유 중이다. 이데자와 CEO는 "아직 결정된 것이 없다"며 "자본 관계 재검토를 포함해 공시해야 할 사실이 발생하면 즉각 알리겠다"고만 했다.


업계에선 라인야후가 네이버와 선을 긋겠다는 의지를 재확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소프트뱅크와 네이버가 라인야후 지분 변경을 논의 중인 가운데 라인야후에선 네이버의 존재감이 옅어지고 있어서다. 네이버는 지난 4일 라인야후의 핀테크 업무를 담당하던 '라인비즈플러스'를 해산·청산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3일에는 라인야후가 간편 결제 서비스 '라인페이'의 일본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공지했다. 이 사업은 소프트뱅크의 또 다른 간편 결제 서비스 '페이페이'로 넘겨진다.


시장의 눈은 라인야후가 조만간 일본 정부에 내놓을 개선안에 쏠린다. 일본 총무성은 라인야후에 2차 행정지도 관련 개선안을 내달 1일까지 제출하라고 못 박았다. 개선안 제출이 마무리되는 시점에 지분 조정에 대한 언급이나 윤곽이 나올 수 있다. 보고서에 대한 일본 정부의 반응 역시 협상 속도에 영향을 미칠 변수다. 네이버에 지분 매각을 압박한 일본 정부가 라인야후 측 대응과 관련해 지분 관계 조정을 고수할 경우 네이버의 선택지가 줄어들 수 있어서다. 다만 네이버는 사업 경쟁력에 최대한 유리한 방향으로 논의를 진행한다는 원칙에 변함이 없다는 입장이다.



한편 소프트뱅크는 오는 20일 주주총회를 앞두고 있다. 소프트뱅크 주총에는 손정의 회장이 참석해 인공지능(AI) 투자와 관련해 세부적인 계획을 밝힐 예정이다. 라인야후 사태와 관련한 언급이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최유리 기자 yrchoi@asiae.co.kr
<ⓒ투자가를 위한 경제콘텐츠 플랫폼,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AD
AD

당신이 궁금할 이슈 콘텐츠

AD

맞춤콘텐츠

AD

실시간 핫이슈

AD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