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간선도로망 30년 만에 바뀐다…남북·동서 각 10개축

국토교통부,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 최종 확정

향후 10년간 도로 건설의 근간이 되는 국가 간선도로망이 남북 방향 10개축과 ·동서방향 10개축을 중심으로 재편된다. 지난 1992년 이후 30여년 만이다. 여기에 기존 5대 대도시 권역의 순환형 도로망에 주변도시와 중심부를 직결하는 방사축을 추가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2021~2030)을 마련해 도로정책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번 계획은 '도로법'에 따른 10년 단위의 도로분야 최상위 법정계획이다. 국토부는 "경제 재도약, 포용, 안전, 혁신성장 등 4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미래 10년의 과제를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계획에는 도로망 구축의 기준이 되는 국가 간선도로망 체계를 개편하는 내용이 담겼다.

국가 간선도로망은 지난 1992년 이후 남북방향의 7개축과 동서방향의 9개축으로 구성된 격자망과 대도시 권역의 6개의 순환망으로 운영(7×9 + 6R) 돼 왔다.

이번 제2차 국가도로망종합계획을 통해 30여년 만에 남북방향 10개축과 동서방향의 10개축, 6개의 방사형 순환망(10×10 + 6R²) 체계로 재정비했다.

전체 국토에 대한 격자망은 간선도로에 더욱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남북방향의 10개축과 동서방향의 10개축으로 재편했다. 이를 통해 ‘중부선’과 ‘중부내륙선’ 사이의 73㎞로 큰 이격거리를 보완한다. 이는 국가 간선망 평균 이격 거리인 30㎞의 2배를 넘는다.

또 남북축의 교통량을 분산시키기 위해 연천~서울(강일IC)~진천~영동~합천 구간에 진천~합천 구간을 신규로 도입해 남북 6축을 도입했다. 또 실제 간선도로 기능을 수행 중인 장거리 노선(평택~부여~익산, 서울~세종, 서울~춘천)을 현재 지선(보조노선)에서 간선축으로 조정했다.

이와 함께 광역 생활권의 교통수요를 감안해 기존 5대 대도시 권역의 순환형 도로망에 주변도시와 중심부를 직결하는 방사축을 도입해 6개의 방사형 순환망(6R²)으로 발전시켰다.

특히 대전·충청 권역의 보령·부여축, 보은축, 태안축, 광주·호남권역의 화순축, 대구·경북 권역의 성주축을 방사축으로 반영해 향후 교통여건 변화에 따른 도로망 확충을 검토할 수 있게 됐다.

이밖에 사람 중심의 도로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다양한 모빌리티를 긴밀히 연결하는 대중교통 환승체계를 구축하고, 휴게소 이용과 요금납부에 있어 비대면 서비스를 확대하는 내용도 담겼다. 아울러 자율자동차와 도심항공교통(UAM) 같은 미래 모빌리티와 새로운 교통서비스의 플랫폼으로서 도로의 역할을 정립하고, 다양한 스마트 기술을 실제 도로건설 현장에 본격적으로 도입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국토부는 '제2차 도로망종합계획'을 이달 중 고시하고, 종합계획의 정책방향에 맞춰 하위계획인 건설계획과 관리계획도 단계적으로 발표할 예정이다.

이윤상 국토부 도로국장은 "새롭게 재편된 간선도로망을 근간으로 전 국민이 30분 이내에 간선도로에 접근해 정체구간 없이 편리하게 도로를 이용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조강욱 기자 jomarok@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