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장기전세주택 공급 시동…1900가구 입주자 모집

주변 시세 80% 이하로 최장 20년 거주
5년 간 7만 가구 공급하기로…14년 전체 물량의 2배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혜민 기자] 오세훈표 '장기전세주택'이 본격 공급된다. 서울시는 첫 물량인 1900가구 규모에 대한 입주자 모집을 시작한다고 24일 밝혔다.

장기전세주택은 주변 전세시세의 80% 이하 보증금으로 최장 20년까지 거주할 수 있다. 무주택 중산층을 겨냥해 중대형 평형 위주로 공급돼 인기가 많다.

첫 장기전세주택 공급분은 1900가구다. 오는 27일 예비입주자 모집공고를 시작해 다음달 15일부터 27일까지 서울주택도시공사(SH) 홈페이지를 통해 신청을 받는다. 1900가구는 내년 3월 입주하는 고덕강일 13단지와 동작트인시아 등 137개 단지의 입주자 583가구, 내년 말까지 고덕강일·마곡 등 29개 단지에서 나올 공가에 대비한 예비입주자 1317가구로 구성된다.

면적별 평균보증금은 전용 60㎡ 이하가 4억377만3000원, 60㎡ 초과~85㎡ 이하가 4억2410만7000원, 85㎡ 초과가 6억687만5000원이다. 입주자모집공고일 현재 서울시에 거주하는 무주택세대구성원으로서, 신청 면적별로 가구당 일정소득과 부동산, 자동차 기준을 갖춰야 한다.

전용 85㎡ 이하 주택은 청약종합저축 납입 횟수·소득조건·거주지에 따라, 초과 주택은 청약종합저축 예치금액과 가입기간에 따라 청약순위가 결정된다. 공급 물량 중 약 250가구는 노무보 부양·장애인·고령자·신혼부부 등에 우선 공급된다. 서울심사대상자와 당첨자는 각각 10월14일, 내년 2월15일에 발표된다. 입주는 2022년 3월부터 이뤄질 예정이다.

오 시장은 전세시장 안정화를 위해 향후 장기전세주택 공급을 대폭 늘릴 계획이다. 2026년까지 5년 간 총 7만 가구를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2007년 첫 도입 이후 14년 간 공급된 약 3만3000가구의 2배에 달한다. 기존 방식의 장기전세주택과 '상생주택'이라는 새로운 방식을 통해 물량을 크게 늘릴 수 있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제도도 함께 개선했다. 우선 기존 입주자가 나간 후에야 새 입주자를 모집한 관행에서 벗어나 주택청약과 같은 예비입주자 제도를 새롭게 도입한다. 계약종료 시점을 바탕으로 공가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해 예비입주자를 선정해놓고, 기존 입주자가 나가는 대로 입주시키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시 관계자는 "그동안에는 기존 입주자가 퇴거하더라도 다음 입주자 선정까지 길게는 수개월 간 비워진 상태로 둘 수밖에 없었다"며 "장기전세주택의 신속한 공급이 가능해지고 공가 발생도 최소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동안 내부 위원으로만 운영된 장기전세주택 공급가격 결정기구인 '임대업무조정심의위원회'에 외부 전문위원을 대거 위촉해 공급가격 산정방식도 바꿨다. 또 최근 전세가가 급등, 장기전세주택 전세보증금이 지나치게 높게 형성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공급가격을 2년 마다 심사하되 전세 보증금의 5% 이내에서 증감하도록 조정키로 했다.

장기전세주택의 새로운 유형으로 도입되는 '상생주택'에 대한 세부 추진계획도 현재 수립 중이다. 상생주택은 가용지가 부족한 서울의 상황을 고려해 민간의 토지를 공공이 임대하고 해당 부지에 용도변경, 세제혜택과 같은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것이 골자다.

기존 장기전세주택 역시 더 많은 무주택자에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평균 거주기간을 고려해 최장 전세기간을 조정하는 등 재설계를 추진할 계획이다.

김성보 서울시 주택정책실장은 "주변시세보다 저렴한 주택에서 장기간 안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장기전세주택을 차질 없이 공급해나가겠다"며 "보다 많은 무주택 시민들에게 혜택이 돌아가고, 공급의 속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제도 개선도 병행해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김혜민 기자 hmi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