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 과학자에 연 1.3억 지원…'박사 유출 막고 창의 연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올해 '세종과학펠로우십' 본격 시행
311명 선정해 인건비 연구비 외에 육아비도 지원
처우 열악 만39세 미만 박사후연구원 등 비정규직 과학자들에게 '단비'

과학자. 자료 사진. 기사와 관련이 없음.

[아시아경제 김봉수 기자] 정부가 젊은 연구자들이 하고 싶은 연구에 집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311명의 우수 젊은 과학자를 선정해 평균 1억3000만원의 연구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는 이같은 내용의 연구 지원 제도인 '세종과학펠로우십' 사업을 본격 착수했다고 1일 밝혔다. 이 제도는 젊은 과학자의 도전적 연구 지원을 위해 2021년부터 새롭게 추진하는 사업이다. 박사취득 후 7년 이내 또는 만 39세 이하인 박사후연구원(비전임교원 포함)을 대상으로 연 1억3000만원 규모의 연구비를 지원한다.

기초 과학 분야에서 낮은 처우와 불안정한 지위에 있는 비정규직 연구원이 안정적으로 원하는 연구를 하고 자유롭게 연구실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특히 대학 및 연구기관에 전임 교원 및 전임 연구원으로 채용돼 계속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올해 총 311명의 우수 젊은 과학자를 선정하였으며, 향후 5년간 원하는 연구를 할 수 있도록 지원받는다. 소속 별로는 대학에 소속된 박사후연구원 및 비전임교원이 278명(89.4%)이며, 정부출연(연) 및 기타 소속 연구원이 33명(10.6%)이다. 특히 이중 여성 연구원은 124명으로 40%(39.9%)에 육박해 전체 국가 연구 개발 사업 중 여성 연구책임자가 차지하는 비중인 17.5%(‘2019년 기준)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지역 대학 소속 연구원의 비율도 97명(31.2%)나 됐다. 이들에게는 박사후연구원의 경우 최고 수준의 인건비(연 6500만원) 및 연구비(연 3500만원)이 지원된다. 인건비 외 추가로 자녀수당(자녀 1인당 월 15만원)도 지급된다.

이같은 사업은 젊은 과학자들이 낮은 처우와 불안한 고용 지위 등으로 독창적 아이디어나 전문 분야의 연구에 제대로 집중하지 못해 기초 과학 분야의 혁신이 제대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라 시행됐다. 실제 한국연구재단이 박사후연구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응답자 총 826명)에서 원하는 연구를 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조건으로 충분한 인건비 확보(429명, 52.3%)라고 응답한 바 있다.

과기정통부 측은 이 제도의 시행으로 해외에 유학한 젊은 박사들의 귀국 촉진과 독창적이고 창의적인 연구 결과물의 창출 등 과학계의 혁신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고 있다. 실제 프랑스의 연구기관에서 연구 중이던 박사후연구원 A씨는 세종과학펠로우십을 지원받아 한국으로 돌아올 수 있게 됐다. 또 4명의 자녀를 둔 박사후연구원 B씨는 "시간이 걸리더라도 의미 있는 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연구를 할 수 있게 됐다"면서 "특히 가족과 함께 생활하며 연구함과 동시에 자녀 수당까지 추가로 지원되어 연구에 더 몰입할 수 있게 됐다"고 환영했다.

세종과학펠로우십은 이밖에 젊은 과학자들이 창의적 연구 주제 및 방향을 스스로 계획하고 연구를 확장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중견·리더급 연구자들과의 멘토링 및 연구성과 공유회 등을 개최한다. 과제 신청 시 소속이 없더라도 신청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일부 제도를 개선해 하반기에 지원 대상자를 추가 선정할 예정이다.

김봉수 과기정통부 기초원천연구정책관은 “연구의 꿈을 갖고 도전하는 젊은 과학자들이 세종과학펠로우십을 통해 성장할 수 있길 기대한다”며 “박사후연구원이 연구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개선해나가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김봉수 기자 bskim@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