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 준비 빨라진 이재용 '일본도 간다'(종합2보)

베트남서 현장경영 마치고 오늘 귀국…다음은 일본 출장 전망
사법리스크 커진 것은 경영에 부담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창환 기자, 이동우 기자] 베트남 출장을 마치고 귀국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곧 일본 출장길에도 오를 전망이다. 사법 리스크가 여전하지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이후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경영 행보가 빨라지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부회장은 4박5일간의 베트남 일정을 마치고 23일 오전 7시께 김포공항을 통해 귀국했다. 이 부회장은 베트남에 이어 일본 출장길에 오를 것으로 예상된다. 그는 "고객들을 만나기 위해 연내 일본에 한 번 가야 될 것"이라며 "다만 아직 정해진 바는 없다"고 말했다.

앞서 이 부회장은 지난달 10일 도미타 고지 주한 일본대사를 만나 양국 간의 기업인 입국제한 문제 등을 논의한 바 있다. 이후 한일 양국은 지난 8일부터 기업인의 격리조치를 면제받는 특별입국절차(패스트트랙)를 시작했다.

이 부회장은 일본에서 일본의 수출규제로 사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반도체 핵심 소재와 5세대(5G) 이동통신 관련 기업 관계자들을 만날 것으로 예상된다.

이 부회장은 지난 19일 베트남 하노이로 출국했다. 지난 14일 엿새간 유럽 출장을 마치고 돌아온 지 5일 만이다.

이 부회장은 지난 20일과 21일 베트남 하노이 인근 박닌과 타이응웬에 위치한 삼성 복합단지를 찾아 사업 현황을 보고 받고 스마트폰과 디스플레이 생산공장 등을 점검했다. 베트남은 삼성전자의 휴대전화 최대 생산 기지로 삼성전자가 판매하는 스마트폰의 절반가량이 이곳에서 생산된다.

이 부회장은 지난 2월 기공식에 참석하려다 무산된 '베트남 연구개발(R&D) 센터' 신축 현장도 방문해 공사 진행 상황 등을 보고받았다. 하노이에 짓고 있는 R&D 센터는 지하 3층, 지상 16층, 연면적 약 8만㎡ 규모의 건물로 삼성전자의 동남아시아 연구단지 중 최대 규모다.

이곳에는 앞으로 스마트폰과 태블릿 등 모바일기기 관련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연구개발 인력 3000여명이 근무할 예정이다. 2022년 말 완공한다.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0~21일 베트남 하노이 인근에 위치한 삼성 복합단지를 찾아 스마트폰 생산공장 등을 점검하는 모습.

◆베트남 총리, 반도체 공장 지어달라고 거듭 요청

이 부회장은 20일 저녁에는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와 단독 면담도 했다. 푹 총리는 지난해 11월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이후 약 1년 만에 다시 이 부회장과 만났다. 그는 삼성이 베트남에 반도체 공장을 지어달라고 다시 요청했다. 푹 총리는 그간 이 부회장을 만날 때마다 삼성전자의 반도체 공장 투자를 요구해 왔다.

다만 삼성전자가 현재 상황에서 베트남에 반도체 공장 투자를 진행할 가능성은 낮다는 게 삼성 안팎의 분위기다. 이미 중국에 대형 반도체 생산라인을 구축한 데다 평택과 화성 등에도 대규모 라인을 증설하고 있어서다. 이 부회장도 이날 귀국길에 "푹 총리의 요청대로 현지 반도체 투자 계획이 있느냐"는 기자들의 질문에 아무런 답을 하지 않았다.

이 부회장은 귀국 이후 다음 출장 계획을 세우는 한편 재판 준비에도 나설 것이라는 예상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파기환송심 재판이 26일부터 다시 시작되기 때문이다.

국정농단 파기환송심은 지난 1월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담당 재판장이 불공정한 재판을 할 염려가 있다"며 기피신청을 해 9개월간 중단됐으나, 최근 고법과 대법원이 연이어 검찰의 요청을 기각하면서 재개됐다.

26일이 준비기일임에도 재판부가 이 부회장에 대해 이례적으로 소환장을 발부해 직접 출석할 가능성이 높을 전망이다. 이와는 별개로 전일인 22일에는 경영권 승계 의혹 관련 첫 공판기일이 열렸으며 이 부회장 측은 검찰의 공소사실을 부인했다.

재계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불확실한 경영환경에서 이 부회장과 삼성을 둘러싼 사법리스크가 커지는 것을 우려한다. 재계 관계자는 "경기침체와 코로나19 등 글로벌 경영환경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서 사법리스크는 삼성에 큰 부담"이라며 "특히 오너의 결단이 필요한 대규모 투자나 인수합병(M&A) 등에 있어서 위축 요인"이라고 말했다.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부 이창환 기자 goldfish@asiae.co.kr산업부 이동우 기자 dwle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