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당국 '내주 '어린이 괴질' 감시체계 가동'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부본부장(국립보건연구원장)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이승진 기자] 방역당국이 이른바 '어린이 괴질'에 대한 감시체계를 다음주부터 가동한다.

곽진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환자관리팀장은 23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소아·청소년 다기관 염증 증후군과 관련해 유럽과 미국, 세계보건기구 등에서 제시하고 운영하는 감시 방법과 사례정의, 조사방식 등을 국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전문가 자문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자문이 완료되면 국내 감시방법과 조사방법 등을 확정해 다음 주에는 감시·조사를 시작할 수 있게 하겠다"고 말했다.

권준욱 방대본 부본부장은 "지금도 국내 모든 소아청소년과 전문의들이 이런 증후군이 조금이라도 의심되면 바로 당국과 연락을 하도록 하게 돼 있다"고 설명했다.

'소아 다기관 염증 증후군'으로 불리는 어린이 괴질은 지난달 유럽에서 처음 보고된 이후 23일 기준 13개국으로 확산했다. 미국에서도 어린이 괴질이 발생한 주가 지난주 17개에서 일주일도 되지 않아 25개로 늘어나는 등 불안감이 높아지고 있다.

이 질환에 걸리면 고열과 발진, 안구충혈 등의 증상을 보이다가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는데, 정확한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일각에서는 어린이 괴질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성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해당 질환의 증상을 보이다 13일 영국에서 숨진 14세 소년과 15일 프랑스에서 숨진 9세 어린이의 경우 코로나19 '양성' 판정을 받았다.

하지만 현재까지 코로나19와 이 질환과의 관련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어린이 괴질은 폐 질환이나 호흡곤란 등의 증상을 동반하지 않고, 일부 환자의 경우 코로나19 검사에서 양성 반응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소아 다기관 염증 증후군 발병 사례가 속출하면서, 세계보건기구(WHO)는 지난 15일(현지시간) 이 질환에 대해 경계심을 가져달라고 세계 보건 종사자들에게 당부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는 소아 다기관 염증 증후군 발병 사례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와의 관련성도 아직 확인할 만한 사항이 나오고 있지 않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이날 0시 기준으로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1만1165명 중 19세 이하의 수는 783명으로, 전체의 약 7%를 차지한다. 이 중 10~19세가 634명(5.7%), 영·유아와 유치원생 및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인 0~9세가 149명(1.33%)이다.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소비자경제부 이승진 기자 promotion2@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