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바, 43년만에 대통령직 부활…정계 세대교체 가속화

1959년 쿠바 혁명 주역들, 최고 통치기구에서 물러나

[이미지출처=AP연합뉴스]

[아시아경제 김은별 기자] 쿠바가 1976년 이후 처음으로 43년 만에 국가 원수로서의 대통령직을 부활시켰다. 1959년 쿠바 혁명 당시 주역이던 '카스트로의 동지들'이 최고 통치기구인 국가평의회에서 물러나며 쿠바 정계의 세대교체도 가속화했다.

10일(현지시간) 쿠바 일간 그란마에 따르면, 쿠바 국회인 전국인민권력회의는 미겔 디아스카넬 국가평의회 의장을 대통령으로 선출했다고 밝혔다. 디아스카넬 대통령의 임기는 2023년까지다.

명칭이 바뀌었을 뿐, 디아스카넬 의장이 그 전에도 국가 원수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큰 변화는 없다. 공산당 일당 체제도 유지된다.

쿠바는 1976년 오스발도 도르티코스 토라도 전 대통령을 마지막으로 대통령과 총리직을 없앴다. 대신 국가평의회 의장이 국가 수반을 맡았다.

피델 카스트로가 이후 무려 31년간 국가평의회 의장으로 쿠바를 이끌었고, 2008년부터 10년간 동생 라울 카스트로가 뒤를 이었다. 디아스카넬은 지난해 4월 라울 카스트로에 이어 쿠바 수반이 됐다. 다만 라울 카스트로가 공산당 총서기직을 유지하며 사실상의 1인자 역할을 하고 있다.

쿠바는 지난 4월 개헌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통치를 위해 대통령과 총리를 다시 두기로 했다. 디아스카넬 대통령은 앞으로 3개월 내에 내각을 책임질 국무총리도 임명하게 된다.

한편 이날 전국인민권력회의는 쿠바 부통령에 살바도르 발데스 메사, 디아스카넬을 대신할 새 국가평의회 의장으론 에스테반 라소를 각각 선출했다.

또 국가평의회 의원이 종전 31명에서 21명으로 줄어들면서 쿠바혁명 당시 사령관이던 라미로 발데스와 기예르모 가르시아 프리아스는 평의회에서 물러나게 됐다. 카스트로의 동지들도 줄줄이 통치 중심에서 멀어진 것이다. 마이애미헤럴드는 "지난해부터 라울 카스트로는 사회주의 체제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세대별 변화가 필요하다는 암시를 줘 왔다"고 전했다.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김은별 기자 silverstar@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