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10명 중 8명, 건강정보 정부기관과 공유 꺼린다

KAIST, 개인 건강정보 공유 섬세한 통제 중요성 입증

이미지=게티이미지뱅크

노인 10명 중 8명은 건강정보를 정부기관과 공유하는 것에 거부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KAIST(총장 신성철)는 과학기술정책대학원 최문정 교수 연구팀이 고령사회에서의 헬스케어 기술 개발 및 사용과 관련해 사용자의 개인 건강정보 공유에 대한 통제권의 중요성을 입증했다며 이 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헬스케어 기술 실용화에 걸림돌이 되는 개인 건강정보 공유에 대한 태도를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해 노인들이 누구에게, 어떤 유형의 정보를 공유하는 것에 대해 거부감을 갖는지 파악했다. 이를 통해 노인에게 정보 공유에 대한 보다 섬세한 통제권을 부여해, 많은 노인이 건강증진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노인들이 헬스케어 기술 및 연계 서비스를 이용할 때 개인 건강정보 공유 결정에 미치는 요인을 공유주체와 정보 유형에 따라 분석했다. 이를 통해 정보의 공유주체에 따라 노인의 의사 결정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10명 중 8명이 정부 기관과의 공유를 꺼리고 그중 2명은 가족과의 정보 공유도 꺼리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노인의 인구 사회학적 배경이 이와 같은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했다. 교육 수준이 높고 연령이 낮은 노인일수록 정보 유형을 불문하고 개인 건강정보 공유를 꺼리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여성은 남성에 비해 정부 기관과의 정부 공유를 원하지 않았다. 정보 유형에 따라서도 공유 의사에 변화가 나타났다. 다양한 유형의 건강 관련 정보 중 경제 상황이나 가족병력을 공유하는 것에 민감한 경향을 보였다. 다만 기술에 대해 긍정적 태도를 지닌 노인은 기술개발자 및 기업과의 정보 공유에 대체로 수용적이었다.

최문정 교수는 "개인 건강정보는 그 유형과 내용이 매우 다양하지만 현재 상용화된 헬스케어 기기 및 관련 서비스는 사용자에게 개인 건강정보 전체를 공유할지 말지에 대한 선택을 강제하는 경향이 있다"며 "앞으로는 노인들에게 정보를 어느 범위까지 공유할지에 대한 섬세한 통제권을 줘야 한다"라고 말했다. 최 교수는 이어 "특히 건강한 노년을 위한 예방적 차원의 공공보건 프로그램은 개인정보 수집을 최소화하며 시행해야 많은 노인이 참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이미 수집된 개인정보는 이를 비식별화하는 기술 개발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인터내셔널 저널 오브 메디컬 인포매틱스'에 게재됐다.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4차산업부 김철현 기자 kch@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