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조국 수석 ‘신뢰’ 재확인…“국민이 평가”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손선희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5일 청와대 특별감찰반(특감반) 직원의 비위와 관련해 야권의 에도 불구하고 조국 민정수석을 향한 신뢰를 재확인했다. ‘’라는 강수를 뒀던 기존의 대처가 적절했다는 판단과 함께 추후 개선조치 역시 조 수석에게 일임했다.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춘추관에서 공식 브리핑을 갖고 “문 대통령께서 전날 (순방길) 귀국 직후 임종석 비서실장과 조 수석으로부터 특감반 사건 관련 그간 진행 경과에 대해 보고를 받았다”며 “문 대통령은 조 수석에게 ‘청와대 안팎의 공직기강 확립을 위해 관리체계를 강화하는 한편 특감반 개선방안을 조속히 마련하라’고 지시했다”고 전했다. 이어 그는 “대검 감찰본부의 조사 결과가 나오면 이번 사건의 성격에 대해 국민이 올바르게 평가할 것이라고 (문 대통령이) 말했다”고 덧붙였다.문 대통령이 조 수석을 향해 특감반 이슈 뿐 아니라 공직기강 전반에 대한 개선을 일임했다는 것은 강한 신뢰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야당에서 요구하고 있는 조 수석에 대한 퇴진에 대한 의사가 없는 것이냐는 질문에 김 대변인은 “조 수석에 대해 변동이 없다”고 일축했다. 다만 세부 개선방안에 대해서는 “포괄적인 의미이며, (아직) 세밀한 내용은 아니다”고 덧붙였다.전날 밤 귀국한 문 대통령은 늦은 시각에도 불구 즉각 이 사안에 대해 보고를 받았다. 문 대통령은 순방 도중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국내에서 많은 일이 저를 기다리고 있음을 잘 알고 있다”며 “믿어주시기 바란다”고 밝히기도 했다.청와대 내부에서는 ‘특감반 전원 교체’라는 대처가 오히려 사안의 본질에 비해 엄격히 다스린 것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온다. 일부 인사의 비위행위로 개인의 책임을 묻는 것을 넘어 특감반 전원이 교체된 것은 그 자체로 공직기강에 대한 ‘강력한 경고’란 의미다. 그럼에도 조 수석의 거취까지 거론하는 것은 오히려 이 대처를 빌미삼아 야당의 과도한 정치공세로 다소 억울한 측면이 있다는 입장이다.한편 야권에서는 조 수석에 대한 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이양수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청와대의 입장이 전해지자 오후 “문 대통령은 공직기강 붕괴 책임을 물러 조 수석을 우선 경질해야 한다”며 “일 하고, 잘하는 민정수석을 새로 임명하고 공직기강 재점검을 시작해야 국민이 안심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이어 그는 “문 대통령은 제식구를 감싸고 공직기강 문란을 방치할 것인지, 읍참마속의 심정으로 공직기강을 바로 세울 것인지를 선택해야 할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손선희 기자 sheeson@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