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기술원, 국내 최초 자동차용 3D 리어램프 개발

제품성능, 디자인, 양산성, 세 마리 토끼 한꺼번에 잡다

한국광기술원은 국내 최초로 제품성능, 디자인, 양산성을 모두 갖춘 자동차용 3D 리어램프의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사진=한국광기술원

[아시아경제 호남취재본부 문승용 기자] 한국광기술원(원장 김영선)은 인피니티 미러(Infinity mirror) 기술을 이용해 3D 효과를 줄 수 있는 자동차용 리어램프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한국광기술원 조명융합연구본부 IoT조명연구센터(센터장 이윤철)는 지난 2년간 산업통상자원부 지역주력육성(R&D) 기술개발사업의 지원을 받아 엘이디라이텍㈜(대표 유준상)과 공동연구를 통해 기존의 1, 2차원적인 형태를 3차원적으로 입체화 하는 3D 리어램프를 국내 최초로 개발했다.최근 해외 자동차 선진사는 운전자의 상황(정지, 상향전환 등)을 알려주는 기능적 구현 측면을 벗어나, 차량 제조사 브랜드, 디자인 우수성, 심미적 만족감을 주기 위한 후미등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광기술원은 기후변화에 따라 전조등의 색온도를 가변하고 마주오는 차량의 눈부심을 제거하는 스마트 전조등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사진=한국광기술원

국내에서는 홀로그램(Hologram), 라이트필드(Light-field) 등 다양한 방식으로 3D조명 연구가 이뤄지고 있으나, 복잡한 시스템 구조, 낮은 광도(밝기), 제한된 조건(기구조건), 고비용 등과 같은 문제로 양산화에 어려움을 격고 있다.이에 반해 인피니티 미러(Infinity mirror) 기술은 주로 특수 산업 분야에서 사용하던 기술로 시스템 구성이 간단하고, 입체효과가 뛰어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지금까지 자동차 후미등의 배광조건을 충족시키기 어려워 기술적용에 한계가 있었다.인피니티 미러(Infinity mirror)란 한 쌍의 평행 거울을 이용해, 연속된 작은 상이 맺히게 하는 구조로, 무한대의 원근감 효과를 줄 수 있다.한국광기술원 IoT조명연구센터 연구진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자, 마이크로 패턴 복합렌즈와 자유형상 미러를 자체 개발해 3D 리어램프 개발에 성공했다.이를 통해 기존의 1, 2차원 형태의 국내 제품보다 단순하고 컴팩트한 3D 구조(40mm 수준)를 구현했고, 유럽 자동차 배광규격을 충족시키는 등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3D 입체감과 디자인을 구현했으며, 단순한 구조로 조립성이 우수해 양산적용이 용이해 졌다.

한국광기술원은 자동차 도어 개방 시 노면을 밝히는 Courtesy lamp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사진=한국광기술원

한국광기술원은 수송기계(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우주 등), 도로 및 항공 안전, 해양 수산 및 ICT 융합(모바일, 디스플레이) 산업분야에 적용되는 다양한 조명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있다.대표적인 기술로 ▲기후변화에 따라 전조등의 색온도를 가변하고 마주오는 차량의 눈부심을 제거하는 스마트 전조등 ▲자동차 도어 개방 시 노면을 밝히는 Courtesy lamp ▲설치 높이 1m, 소비 전력 20W수준 M2 도로성능을 만족하는 프로빔 기반의 낮은 폴 도로조명 등에 대한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한국광기술원 이윤철센터장은 “자율주행차, 초고속 자기부상열차, 스마트하이웨이, 도로안전, 해상안전 분야의 핵심기술 확보로 국민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신산업 창출을 통한 고용창출로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지속 노력하겠다”고 했다.호남취재본부 문승용 기자 msynews@naver.com<ⓒ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전국팀 호남취재본부 문승용 기자 msynews@naver.comⓒ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