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장 체포’에 르노-닛산, 경영체제 개편…세계2위 車동맹 갈라서나

카를로스 곤 [이미지출처=EPA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조슬기나 기자] 2005년부터 르노·닛산 얼라이언스를 이끌어 온 카를로스 곤 회장이 일본 검찰에 됨에 따라 세계 2위 자동차 얼라이언스의 미래가 불투명해졌다. 르노-닛산-미쓰비시 간 주도권 다툼이 표면화하는 것은 물론, 르노의 대주주인 프랑스 정부의 개입에 따라 현 연합체계의 근본적인 재검토가 이뤄질 것이란 관측이다. 20일 니혼게이자이신문 등에 따르면 프랑스 르노는 이번 주말께 이사회를 개최해 자금유용 혐의로 일본 검찰에 체포된 곤 회장을 해임하기로 했다. 이후 즉각적인 경영체제 개편에 돌입한다는 방침이다. 곤 회장의 임기는 당초 2022년까지였다.후임으로는 올 초 최고운영책임자(COO)로 승진한 티에리 볼로레가 유력하다. 볼로레 COO는 르노의 지분 15%를 보유한 프랑스 정부가 그간 곤 회장의 후임자로 밀어왔던 인물이자, 최근 파리 모터쇼 등에서 프레젠테이션을 맡으며 사실상 그룹 2인자로서 부상한 인물이다.르노-닛산-미쓰비시간의 미묘한 역학관계를 끌어온 곤 회장이 갑작스럽게 불명예 해임되면서 당장 회사 경영에 타격이 불가피하다. 당장 2022년까지 판매량을 30%이상 끌어올리겠다는 당초 목표에 암운이 드리워졌다. 이날 유럽증시에서 르노의 주가는 투자자들의 우려가 반영되면서 장중 한때 15% 이상 급락했다. 얼라이언스의 관계구도 또한 불투명해졌다. 현재 얼라이언스의 지배구조는 독특하다. 르노가 닛산의 지분 43.4%를, 닛산이 르노의 지분 15%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닛산은 미쓰비시의 지분 34%를 갖고 있다. 그간 곤 회장은 이들 회사 간의 독립적인 경영권을 지키면서도 사업을 연계해 시너지를 강화하는 구심점 역할을 해왔다.NHK는 “곤 회장은 르노의 대주주인 프랑스 정부와의 사이에 서서 닛산의 자주적 경영을 유지케 했고, 미쓰비시를 포함한 3개사를 강력한 리더십으로 묶어온 인물”이라며 “경영체제의 근본적인 재검토에 직면하게 됐다”고 보도했다. 일본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미묘한 역학관계 위에서 곤 회장의 강력한 리더십으로 정리돼왔던 얼라이언스의 균형이 깨질 것”이라며 3사 간 전략불일치, 권력투쟁 격화 가능성을 우려했다.특히 르노 대주주인 프랑스 정부의 개입이 주요 변수다.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과거 경제산업부 장관시절부터 자국산업 육성을 위해 르노와 닛산의 합병을 요구해왔다. 이 일환으로 프랑스정부는 2년 이상 주식을 보유한 주주의 의결권을 두 배로 인정해주는 플로랑주법을 도입하기도 했다. 곤 회장의 해임이 향후 프랑스 정부와 일본 닛산, 미쓰비시와의 관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란 관측이 제기되는 배경이다. 마크롱 대통령은 이날 곤 회장의 체포 소식에 “사태를 예의주시할 것”이라며 “대주주로서 그룹 안정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언급했다.일본 내에서는 곤 회장의 체포소식이 알려진 이후 반감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999년 경영난에 빠진 닛산에 파견돼 공격적인 구조조정으로 회사 회생에 기여했던 곤 회장은 일본에서 외국인 경영자 최초로 남수포장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사이카와 히로코 닛산 최고경영자(CEO)는 전날 밤 긴급 기자회견에서 “권력이 지나치게 집중돼 이런 결과를 가져왔다”며 분노와 실망감을 토로했다. NHK는 “지배구조가 결국 문제였다”고 꼬집었다. 한 간부는 니혼게이자이신문에 "곤 회장이 이상황에서도 자신에겐 책임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한탄했다.3사뿐 아니라 상호지분 보유 방식으로 제휴체제를 이어온 독일 다임러까지 파급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닛산과 르노는 다임러의 지분 1.55%를 각각 보유하고 있다. 다임러 역시 닛산과 르노의 지분 3.1%를 소유 중이다. 양측은 멕시코 등에서 공장을 함께 운영하며 10개 이상 공동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 한국의 르노삼성자동차도 르노그룹이 대주주다.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국제부 조슬기나 기자 seu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