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린온 사고는 기체결함… 카이 최대 위기

[이미지출처=연합뉴스]

[아시아경제 양낙규 기자]해병대 상륙기동헬기 의 원인은 ‘로터 마스트’라는 부품의 결함 때문으로 잠정 결론 났다. 국내 최대 방산업체 한국항공우주(KAI)가 사고 결과에 이어 미군 차기 고등훈련기(APTㆍAdvanced Pilot Training)교체사업 기종 선정에 탈락할 경우 최대 위기를 맞을 것으로 보인다.17일 군 관계자에 따르면 마린온 추락사고의 원인을 조사해온 ‘민ㆍ관ㆍ군 합동 사고조사위원회’(이하 사고조사위)는 지난 16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중간조사 결과를 유족 측에 설명했다.지난달 8일 출범한 사고조사위의 조사결과 에어버스 헬리콥터에 로터 마스트를 납품한 유럽의 하청업체가 제조과정에서 열처리 공정작업을 제대로 하지 않아 해당 부품에 균열이 발생한 것으로 드러났다. 로터 마스트는 엔진에서 동력을 받아 헬기 프로펠러를 돌게 하는 중심축이다. 이 부품에 균열이 발생해 사고 헬기의 시험비행 때 이륙 4~5초 만에 메인로터(주회전날개)가 떨어져 나가면서 추락했다는 것이다. 해당 하청업체도 제조공정상의 문제를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다.에어버스 헬리콥터는 마린온의 원형인 육군 기동헬기 ‘수리온’의 국내 개발 과정에 기술제휴 업체로 참여했다. 이번에 문제가 된 로터 마스트는 마린온 헬기는 물론 수리온에도 장착된 것으로 알려져 수리온 계열 헬기에 대한 전수조사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고 당시 사상자가 다수 발생한 것은 헬기가 거꾸로 추락하면서 화재가 발생했기 때문으로 조사됐다.에어버스 헬리콥터가 제작한 슈퍼 푸마 헬기도 2016년 이번 마린온 추락사고와 유사한 형태의 사고를 낸 적이 있다. 당시 슈퍼 푸마 사고의 원인은 메인로터의 동력전달을 담당하는 기어박스(KGB) 내 기어 8개 중 1개가 피로균열로 파괴됐기 때문으로 조사됐다. 일각에선 사고 헬기의 설계상 문제가 없었는지, 헬기에서 발생한 진동이 로터 마스트 균열에 영향을 미친 것은 아닌지, 헬기 시험비행 때 병사까지 탑승하도록 것은 규정상 문제가 없는지 등에 대한 심층 조사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한편, APT사업은 미 공군이 운용 중인 T-38 탈론 고등훈련기의 노후화에 따른 교체사업으로 사업규모만 17조원에 달한다. 1차 미 공군 350대를 시작으로 미 해군 등의 추가 소요를 고려하면 규모가 모두 1000대, 50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초대형 프로젝트다.T-50A는 2015년 말 시제기가 나오고 작년 5월 초도비행을 마쳤다. 지난해 11월에는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그린빌에 있는 도널슨 센터 공항에서 시험비행을 선보이기도 했다. 미 정부는 올해 말께 계약을 체결할 계획이다. 업계에서는 T-50A 시제기가 경쟁사들이 개발하고 있는 훈련기와 달리 공중급유 장치를 달아 작전 시간을 늘리는 등 최신 전투기 조종사 양성을 위한 성능을 두루 갖췄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T-50A 시제기의 미국 시험비행은 한국과 미국이 지난해 9월 ‘감항인증 상호인정’에 합의한 덕택에 빠르게 진행되기도 했다. 감항(堪航ㆍairworthiness) 인증은 항공기 성능과 비행 안전성을 당국이 보증하는 제도다. T-50A는 미국 당국으로부터 별도의 감항인증을 받을 필요 없이 한국에서 발행한 감항인증서만으로 미국에서의 비행이 승인됐다.APT사업에 뛰어는 경쟁사는 보잉-스웨덴 사브사다. 2파전인 셈이다. 보잉-스웨덴 사브사가 내놓은 후보기(N-381)도 지난해 12월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에서 첫 시험비행을 마쳤다. 당시 후보기는 약 55분 동안 비행하는 동안 후보기는 최고 1만1000피트까지 날아올랐고 최고 시속 430㎞/h에 도달했다.양낙규 기자 if@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양낙규 기자 if@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