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상기준 바뀌었다는데…” 또 다시 서훈 심사서 탈락한 독립운동가들

故 김용관·염석주·정용선 선생들 또 다시 포상 명단서 제외…후손들 '나라에서 사료 발굴하겠다더니 감감 무소식'

광복절인 15일 서울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열린 '2018 서대문 독립민주 축제'를 찾은 시민들이 전시관을 둘러보고 있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아시아경제 유병돈 기자] 국가보훈처가 100명이 넘는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새롭게 선정, 포상했지만 석연찮은 이유로 또 다시 외면 받은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분통을 터뜨리고 있다. 새 정부가 천명한 포상 심사기준 등의 개선에도 독립유공자로 인정받지 못하면서 일부 후손들은 절망감까지 느끼고 있는 상황이다.국가보훈처는 제73주년 광복절을 맞아 177명의 순국선열과 애국지사를 선정해 포상했다. 이 중에는 건국훈장 93명(애국장 31, 애족장 62), 건국포장 26명, 대통령표창 58명 등이 포함됐다. 보훈처는 독립유공자 포상 심사기준을 개선함으로써 포상된 분들과 ‘여성 독립운동가 발굴’ 전문가 용역 등 정부의 주도적인 노력으로 포상된 분들이 다수 포함됐다고 발표했다.보훈처는 지난 4월 포상 심사기준을 개정했는데, ▲3개월로 되어 있던 최소 수형·옥고기준을 폐지하여 3개월 이하라도 독립운동으로 인해 옥고를 치른 경우 포상 ▲독립운동 참여 때문에 퇴학을 당한 경우 학생신분을 감안해 포상 ▲실형을 받지 않았더라도 적극적인 독립운동 활동 내용이 분명하면 포상을 전향적으로 고려 등의 내용이 골자다. 이번에 포상된 분들 가운데 65명(36.7%)이 개정된 포상 심사기준의 수혜를 받게 됐다.그러나 이 같은 포상 심사기준 개정에도 서훈 심사에서 탈락한 일부 독립운동가 후손들이 불만을 제기하고 나섰다. 정부가 약속했던 ‘독립운동 사료 국가입증 책임 강화’에 대한 내용은 쏙 빠진 채 심사가 이뤄졌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실형 등을 입증할 만한 사료와 문서들이 1981년 1월7일 정부에서 문서정리주간실시계획공보 명목으로 폐기 처분된 경우가 많은데도, 사료 입증이 되지 않아 서훈 심사에서 번번이 탈락해 온 것에 대한 대안이 마련되지 않았다는 것.
실제로 이번 포상에서도 지난해 광복절 경축사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언급한 故 김용관 선생을 비롯, 경기 수원지역 신간회 활동을 주도한 故 염석주 선생, 경북 봉화군에서 독립군 군자금 모금 활동을 펼치다 경성형무소에서 옥사한 故 정용선 선생 등은 여지없이 탈락한 것으로 확인됐다.이에 대해 김용관 선생의 후손인 최성현(48)씨를 비롯한 후손들은 하나같이 “이번에도 서훈에서 탈락했다는 소식을 듣고 우리나라에 환멸을 느꼈다”면서 “그 동안 인정해 주지 않다가 갑자기 해주려니 명분이 없는 것 아닌가 하는 의구심까지 든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어 “나라에서 앞장 서서 사료 발굴에 힘쓰겠다고 했지만,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단 한 차례도 설명을 들은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이와 관련, 국가보훈처 관계자는 “우선적으로 포상 심사기준을 개선해 새로운 독립운동가들을 발굴한 것”이라며 “지속적으로 사료 수집을 하고 있는 만큼 더 많은 독립운동가를 포상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유병돈 기자 tamond@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