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原電·변전소 EMP 방호시설 전무'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국가주요방호시설인 전국 원자력발전소와 변전소가 전자기파(EMP) 방호시설을 갖추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손금주 국민의당 의원은 한국전력공사·한국수력원자력이 제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현재 운용 중인 전국 원전과 전력설비에 EMP 공격을 방호할 수 있는 시설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7일 밝혔다.EMP 공격은 목표 시설의 전자통신장비 등 주요 통제·지휘체계를 무력화 시킬 수 있다. 원전의 경우 EMP 공격을 받아 제어 불능상태가 되면 원자로 냉각 등 제어시스템에 의해 이뤄져야 하는 안전 정지가 불가능해질 수 있다.최근 북한 역시 EMP 공격이 가능하다며 위협한 바 있다. 북한은 지난달 9일 핵실험 직후 "우리 수소탄은 전략적 목적에 따라 고공 폭발시켜 초강력 EMP 공격까지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이에 따라 한국수력원자력과 한국전력에서도 자체 연구용역을 실시 중이지만, 용역이 끝나는 기간이 내년 이후여서 실제 방호시설 설치 등이 이뤄지는 시기는 최소 2년 이후라는 것이 손 의원의 지적이다.손 의원은 "국가주요방호시설에 대한 방호는 최대한의 피해를 가정해 이뤄져야 하지만, 전자기파 공격에 대한 방호대책이 전무한 것은 국민을 불안하게 하는 안이한 사고"라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연구용역의 기준도 최대 100kt 위력의 핵폭탄으로 돼 있어 최대 160~250kt 까지도 추정되는 북한의 핵폭탄 위력을 막기엔 역부족인 만큼, 현실성 있는 방호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밝혔다.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정치부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