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첫날부터 김명수 송곳 검증 예고…지방선거·지지율상승·당내 화합 숙제
[아시아경제 유제훈 기자] 안철수 국민의당 신임 대표체제가 28일 본격적인 닻을 올렸다. '선명 야당'을 기치로 내건 안 대표가 취임 첫날부터 김명수 대법원장 후보자에 대한 송곳 검증을 예고한 가운데, 향후 어떻게 대여·대청관계를 조성해 나갈지에 정치권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아울러 '대통령 선거 패배 책임론' 등에 휩싸인 안 대표가 전당대회에서 가까스로 신승을 거둔 만큼, 당내 화합, 지방선거 대비 등의 과제를 어떻게 풀어갈지 주목된다.안 대표는 이날 오전 신임 지도부와 함께 국립서울현충원을 방문하면서 당 대표로서의 공식일정을 개시했다. 안 대표는 방명록에 "대한민국의 정치개혁과 미래를 향해 전진하겠습니다"라고 적고, 고(故) 김대중·이승만·김영삼·박정희 전 대통령의 묘소를 차례로 참배했다.이어 안 대표는 국회로 이동, 전병헌 대통령비서실 정무수석비서관의 예방을 받았다. 전날 문재인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나눈 데 이어 '갈등적 관계'를 예고한 문재인 정부와 상견례를 가진 셈이다.안 대표는 전 수석에게 "어제 문재인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국익과 민생에 부합한다면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고 전했고, 대통령에게 국회와 소통을 위해 노력해 달라고 말했다"며 "전 수석도 여당보다는 야당과 더 많은 대화를 부탁드린다"고 뼈 있는 말을 건넸다.이에 전 수석은 "야당으로서 견제도 하지만, 협력할 것은 제대로 하는 새로운 정치모델을 만들어 가는 것이 새 정치의 핵심이 아닌가 한다"며 "문 대통령도 여·야·정 국정 협의체의 조속한 현실화를 당부했다"고 전했다. 실제 안 대표는 27일 당 대표직 수락 연설문에서만 무려 11차례 문재인 정부의 코드인사·선심 공약과 "싸우겠다"는 표현을 썼다. 민생과 국익을 위해 문재인 정부의 국정에 협력하겠다는 발언은 단 한 차례에 불과했다.안철수 체제의 첫 대여 관계 시험대는 김 후보자, 이유정 헌법재판관 후보자의 인준 문제가 될 가능성이 크다. 국민의당은 애초 이 후보자의 경우 정치적으로 편향된 행보를 보여왔다며 인준에 부정적인 태도를 취해 왔지만, 김 후보자에 대해서는 유화적인 견해를 내비쳐 왔다. 그러나 최근 국민의당은 추미애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뇌물죄로 실형을 선고받고 만기 출소한 한명숙 전 국무총리를 옹호하는 발언 등을 이어가자 불씨를 김 후보자에게도 옮기는 모습이다. 이와 관련해 국민의당 법조인 출신 의원들은 25일 조찬 회동을 하고 대응 방향을 논의하기도 했다.안 대표도 이날 오전 첫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사법부의 독립성이 침해받고 있는 상황이 우려된다"며 "김 후보자가 (사법)개혁을 달성할 수 있을지 인사청문회 과정에서 철저히 검증하겠다"라고 전했다.이밖에도 안 대표에게는 해결해야 할 난제들이 적지 않다. 우선 전당대회로 야기된 당내 갈등 봉합이 급선무다. 호남권 일부 의원들은 갖은 만류에도 안 대표가 당권 도전을 결행하자 '불 싯(Bull shit)', '외계인' 등의 격한 언사로 비판을 이어왔다.실제 전대 투표에서도 안 대표는 51.09%로 턱걸이 과반을 이루는 데 그쳤고, 최고위원 선거에서는 박주현 전국여성위원장(당연직 최고위원) 등 비안철수계 인사들이 약진하기도 했다. 원외 대표인 안 대표로서는 당내 갈등을 봉합하지 못할 경우 입지가 약화할 가능성도 있다.한 당 관계자는 "당분간은 허니문 기간이 이어지겠지만, 정기국회에 들어서게 되면 각종 정책연대를 두고 서로 다른 의견들이 분출될 가능성이 크다"라며 "특히 여당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고, 바른정당과의 공조 움직임이 구체화 되면 호남권 의원들의 반발도 더욱 커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당 지지율 제고와 지방선거 대비도 주된 과제다. 최근 여론조사에 따르면 국민의당의 당 지지율은 '문준용 의혹 제보 조작사건' 이후 4~5% 선에 머무르고 있다. 안 대표의 출마 및 당선 이후에도 지지율은 1% 안팎으로 잠잠한 모습이다.지방선거를 위한 체제 정비도 시급하다. 지방선거가 1년도 채 남지 않았지만, 국민의당의 지역조직은 호남지역을 제외하고는 거의 없는 수준이어서다. 17개 시·도의 광역지방자치단체장 후보군도 녹록지 않은 상태다.유제훈 기자 kalamal@
정치부 유제훈 기자 kalama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