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 '北 무력시위 지속 韓 안보리스크 부각'

북한 미사일

[아시아경제 오현길 기자] 스탠다드 앤 푸어스(S&P)는 북한의 무력시위가 이어지면서 안보리스크가 부각되고 있다고 지적했다.S&P 글로벌 신용평가는 24일(현지시간) 싱가포르에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한국과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에 대한 세부보고서(A Closer Look At The Sovereign Ratings On Japan And Korea)'를 발표했다.우선 한국의 국가신용등급(AA/안정적/A-1+)은 우호적인 정책환경, 견조한 재정상황, 그리고 순채권국 지위를 반영한다고 풀이했다.다만 상당한 수준의 안보 리스크와 우발채무는 이러한 강점을 부분적으로 상쇄하는 요소로 작용한다고 강조했다.S&P는 "한국의 우발채무는 조선업을 비롯한 취약업종 익스포져가 높은 정책은행들의 대손비용 증가와 관련돼 있다"면서 "정책은행의 잠재적 대손비용이 한국의 재정상황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다"고 판단했다. 특히 킴엥 탄(Kim Eng Tan) S&P글로벌 신용평가 상무는 "전문가들은 북한이 장기전을 수행할 능력이 없다고 말하지만 군사적 충돌은 분명한 위협"이라며 "어떤 형태의 물리적 충돌이든 한국에게 상당한 경제적 피해를 가져올 것은 확실하다"고 지적했다.아울러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THAAD) 도입으로 중국과 갈등은 국가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할 만큼 악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S&P는 "한국의 사드 도입 결정은 중국과의 관계 악화로 이어져 한국을 방문하는 중국인 관광객 수가 급감하는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두드려졌다"고 지적했다.다만 "국가신용등급을 하향조정할 만큼 중국과의 관계가 악화될 것으로 전망하진 않는다"며 "한국의 대중 수출품 대부분은 중간재로 중국의 경제보복은 자국의 수출에도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한편 S&P는 일본에 대해서 아베노믹스를 비롯한 향후 경기부양책을 통해 경제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을 상승전환 시킬 경우, 재정상황이 개선되고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은 장기적으로 상향 압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크레이그 마이클스 S&P글로벌 신용평가 이사는 "일본의 가장 큰 리스크는 중장기적 성장동력이 흔들리고 있으며 이미 매우 취약한 재정상황이 더욱 악화되고 있는 점"이라며 "일본중앙은행과 아베 총리가 쓸수 있는 정책 카드가 남아있지 않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한편 S&P글로벌 신용평가는 지난달 일본의 국가신용등급을 'A+/A-1'로 유지한 바 있다.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경제부 오현길 기자 ohk0414@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