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안하늘 기자]문재인 대통령이 가계통신비 인하 공약으로 '와이파이 프리 대한민국'을 선보이면서 LG유플러스에 이어 SK텔레콤이 자사의 와이파이를 개방한 가운데 가장 많은 와이파이를 보유하고 있는 KT는 이에 동참하지 않아 비판이 제기된다.16일 녹색소비자연대 전국협의회 ICT소비자정책연구원은 성명서를 통해 "LG유플러스와 SK텔레콤이 타사 고객에게 와이파이를 개방하겠다고 한 만큼 '국민의 통신기업'이라고 자부하는 KT 역시 타사 고객들에게 와이파이를 개방해야 한다"고 말했다.정부가 올해로 6년 동안 추진하고 있는 공공 와이파이사업은 주민센터, 전통시장, 복지시설, 보건소, 터미널 등 서민·소외계층이 주로 이용하는 장소를 중심으로 구축해 왔다. 이에 많은 국민들이 체감하기에는 부족한 실정이다. 또 공공와이파이의 경우 정부 재원으로 확충해야 하기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2017년 1월 기준 이통3사의 상용 와이파이 엑세스포인트(AP) 현황은 40만6021개에 달하는 반면 공공 와이파이 AP는 이통사당 약 1만개, 총 3만개 수준이다. 이통3사 상용화 와이파이 AP 대비 7.3% 수준에 불과하다. 도심밀집지역, 유명 관광지, 도로, 지하철 등 트래픽 밀집 지역까지 공공 와이파이 혹은 개방 와이파이가 확대돼야 하는데, 이는 이통사의 와이파이 공유를 통해서만 실현가능하다.가계 통신비 경감을 위해 LG유플러스는 2012년부터 자사의 와이파이 AP(7만9140개)를 개방하고 있으며, SK텔레콤도 최근 전국 와이파이 AP(13만 7091개) 중 약 6만개를 타사 고객에게도 무료로 개방했다. KT의 경우 이통3사 중 가장 많은 와이파이 AP(18만9790개)를 보유하고 있는 만큼 보다 폭 넓은 국민 혜택을 위해서라도 와이파이 AP 개방에 동참이 필요한 상황이다. 녹소연 관계자는 "KT가 가장 많은 와이파이 AP를 보유하게 된 것은 과거 국영기업으로 누렸던 독점적 지위가 있었기 때문"이라며 "지금도 국가지도통신망, 국가재난망사업 등 정부의 핵심 통신망을 구축·운용하는 통신사업자라는 측면에서 정부 정책에 발 맞춰야 할 의무도 있다"고 말했다.이에 대해 KT는 "고객 체감 품질과 투자 및 운영 효율성 등을 감안해 검토하고 있고 현시점에서 개방 여부를 언급하기는 이르다"고 말했다.한편 문 대통령은 지난달 8대 가계통신비 인하 방안을 발표하면서 "이통3사가 무선인터넷 와이파이를 공유하고, 통신사가 보유한 와이파이 존이 없는 곳은 중앙정부, 지방정부가 함께 공공 와이파이존을 신설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문 대통령은 "모든 공공시설에 공공와이파이 설치를 의무화 하겠다. 이를 통해 와이파이 프리 대한민국을 만들 것"이라고 밝혔다.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산업2부 안하늘 기자 ahn708@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