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경제 배경환 기자] 서울시가 주거 취약계층인 청년층에게 주택 공급을 늘리겠다는 새 정부 정책 기조에 맞춰 사회주택 공급량을 2배 더 늘린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후보 시절 임기 내 청년층에게 맞춤형 임대주택 30만가구의 공급을 약속했다.
/
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최근 올해 사회주택 공급량을 총 555가구로 확정됐다. 사회주택은 시가 사회적기업 등과 협력해 짓는 청년 임대 중 하나로, 저소득 청년 1인 가구에 최장 6~10년 동안 시세의 80% 수준에 공급하는 주택이다. 올해 공급량은 지난해 289가구보다 2배 가까이 늘어난 규모다. 리모델링형에 이어 최근 토지임대부와 빈집을 활용한 사회주택의 공급을 추가한 게 특징이다. 가장 많은 물량은 리모델링형에 몰렸다. 낡은 고시원과 여관 ㆍ모텔 등을 리모델링하는 주택으로, 총 290가구가 계획됐다. 열악한 주거 유형의 상징이던 고시원을 개인 주거공간과 식당, 화장실, 샤워실, 휴게실, 회의실 등 공유ㆍ커뮤니티 공간이 결합된 셰어하우스로 바꿔 청년 1인에게 저렴하게 공급하는 방식이다. 지난해 공급된 리모델링형은 40가구에 불과했다. 빈집을 활용한 사회주택도 올해 본격적으로 도입된다. '빈집 살리기' 프로젝트로 공급되는 사회주택은 총 32개동 160가구다. 사업시행자가 빈집을 물색해 소유주와 임대차계약 후 신청하는 방식으로, 시가 리모델링 비용을 지원한다. 현재 서울시는 전 자치구 내 빈집 데이터를 구축 중인 상태로 일반 리모델링이나 토지임대부보다 사업비 부담이 적고 조성 기간이 짧아 빈집 활용도를 더 높일 방침이다. 국토교통부 역시 빈집을 활용한 임대주택의 경우 용적률 혜택 등을 내건 상태로 향후 서울시와의 시너지가 기대되는 대목이다. 실제 문 대통령은 청년층을 위한 맞춤형 임대 30만가구를 계획했다. 교통이 편리한 대도시 역세권에 시세보다 싼 청년주택 20만가구를 건설하고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해 월세 30만 이하의 쉐어하우스형 청년임대주택 5만가구를 공급하는 게 골자다. 대학 기숙사 수용인원은 수도권 3만명을 포함해 총 5만명으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현재 서울시와 청년임대 확보를 위해 임대 유형 개발과 재원 마련에 대한 논의에 들어갔다. 이와함께 서울시 공용부지에 짓는 토지임대부 사회주택도 7개 필지 105가구가 예정됐다. 지난해 마포구 성산동에 토지임대부 사회주택 1호가 공급된 상태로 올해도 원룸, 투룸, 복층형으로 나눠 다양한 수요층을 반영하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시가 새 임대주택 유형으로 발굴한 사회주택의 행정ㆍ금융적 지원 범위를 더 확대해 공급량을 늘릴 예정"이라며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청년주거를 해결하기 위해 이제는 자치구와 서울시는 물론 중앙정부도 함께 고민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배경환 기자 khba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