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뉴 서울플랜]2030년까지 낙후지에 상업지역 192만㎡ 지정…'지역 균형발전'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서울시가 오는 2030년까지 낙후·소외된 지역 위주로 서울광장 145개 규모인 192만㎡의 상업지역을 추가 지정한다. 상업지역의 지역별 격차가 큰 만큼 지역 균형발전을 위한 안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서울시는 15일 이런 내용을 담은 새로운 도시계획체계인 '서울시 생활권 계획안'을 발표했다. 지난 2014년 '203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53지구중심을 더해 서울의 중심지 체계 완성에 마침표를 찍었다. 생활권 계획안을 보면 서울시는 오는 2030년까지 상업지역 192만㎡를 추가 지정한다. 지정 가능한 상업지역 물량은 낙후·소외된 지역 위주로 안배한다. 서울시가 신규로 배분할 수 있는 상업지역 면적 192만㎡ 중 시 유보 물량을 제외한 134만㎡(70%)를 지역발전 안배 물량으로 정했다. 서울시는 인구, 일자리, 기존 상업지역 면적 등을 고려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동북권(59만㎡)과 서남권(40만㎡), 서북권(18만㎡)에 87%가량을 배분할 계획이다. 동남권에는 앞서 결정된 삼성동 옛 한국전력 부지 7만㎡를 제외한 10만㎡를 지정하기로 했다. 향후 자치구에서 세부개발계획을 수립해 시에 상업지역 지정을 요청하면 시가 중심지계획, 공공기여 적정성 등을 검토한 뒤 배분물량을 고려해 결정할 방침이다. 서울시가 상업지역의 지역별 안배에 신경쓰는 것은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로 격차가 크기 때문이다. 권역별 1인당 상업지역 면적의 경우 동북권이 동남권의 36% 수준에 머물고 있다. 이미 지정된 상업지역의 개발밀도도 차이난다. 동북권의 평균 용적률은 251%로, 동남권(411%)의 60% 수준에 불과하다. 현재 서울시의 상업지역 면적은 총 2527만㎡로 시 면적의 4.2%를 차지한다. 이중 도심권이 809만㎡다. 권역별로는 서남권이 612만㎡로 가장 크고 동남권 595만㎡, 동북권 337만㎡, 서북권 174만㎡의 순이다. 박원순 시장은 "일자리 중심지인 상업지역 비율이 서울 안에서도 지역별로 격차가 커 개선이 필요하다"며 "지역 균형 성장을 위해 지정 가능한 상업지역 물량을 낙후·소외된 지역 위주로 확대 지정해나가겠다"고 말했다.서울시는 저이용 상업지역의 활성화를 위해 상업지역 내 주거제한 규정(용도용적제)도 개선하기로 했다. 상업지역 내 비주거 의무비율을 30% 이상에서 20% 이상으로 낮추고 주거 용적률을 400%까지 일괄 허용하는 내용으로 연내 조례를 개정할 예정이다. 서울시는 전문가·시민 공청회, 관계기관 협의,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10월 생활권 계획을 최종 확정할 계획이다.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건설부동산부 박혜정 기자 parky@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

오늘의 주요 뉴스

헤드라인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