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제1차 특수외국어 진흥 5개년 계획 발표 [아시아경제 조인경 기자] 앞으로 각 대학이 아랍어나 카자흐어, 힌디어, 폴란드어 등 '특수외국어'를 전공한 교수 채용을 확대하게 된다. 기업과 대학이 함께 특수외국어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특수외국어를 전공한 학생들에게 취업 기회도 제공한다.교육부와 국립국제교육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제1차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 5개년(2017~2021년) 기본계획'을 27일 발표했다.특수외국어는 영어나 프랑스어, 중국어 같은 주요 외국어 외에 국가 발전을 위해 전략적으로 필요하다고 '특수외국어교육진흥에 관한 법률'이 정한 53개 언어를 일컫는다.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아랍어 등 12개와 유라시아 지역의 카자흐어 등 7개, 인도·아세안 지역의 힌디어 등 14개, 유럽 지역의 폴란드어 등 18개, 중남미 지역의 브라질어 등 2개 언어가 여기에 포함된다.현재 특수외국어는 국내 8개 대학(33개 언어)과 14개 대학원이 관련학과나 전공을 개설해 교육하고 있지만 인재 양성을 위해 교육을 더 내실화해야 한다는 요구가 높았다.이에 따라 교육부는 오는 4∼8월 산업·교육 등 사회 부문별로 특수외국어 실태 조사와 수요 분석을 거쳐 그 결과를 대학에 제공한다. 각 대학들은 이를 토대로 학교별 여건과 특성에 따라 지원언어를 선택해 교육 모델을 개발한다.특히 대학이 기업과 공동으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이를 이수한 학생의 취업 확대를 유도하는 등 사회적 수요를 반영한 특수외국어 인력 양성에 나선다.교육부도 2019학년도 '사회맞춤형 산학협력 선도대학(LINC+)' 사업 등을 통해 기업과 대학의 특수외국어 교육 공동운영을 추진하도록 할 계획이다.통·번역 전문가를 양성할 수 있도록 통번역대학원에 특수외국어 전공을 개설하거나 학·석사 연계과정(3.5년 + 1.5년)도 신설한다.또 특수외국어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공감대가 형성될 수 있도록 우수한 특수외국어 관련 강의는 K-MOOC에 공개하고 기업과 지자체 수요를 바탕으로 위탁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한다.특수외국어 인재 양성을 위한 학부교육도 내실화한다. 우선 학교의 교육 역량을 높이기 위해 각 대학은 교원 대상 연수를 추진하고 특수외국어를 전공한 교원의 채용을 늘린다.다양한 특수외국어 교육을 위해 전공과목 개설 기준을 완화하고, 수요가 적어 학과 개설 등이 어려운 특수외국어는 유사한 다른 외국어 수업과 연계 수업을 할 수 있게 된다. 특수외국어 교육을 내실화하기 위해 대학 학사운영을 자율화하고, 융합전공 등을 활용한 대학간 공동·복수학위제 운영도 추진한다.교육부는 이와 별도로 특수외국어에 대한 전문성과 교육 역량을 갖춘 대학 3곳 가량을 특수외국어 전문교육기관으로 정해 학교당 10억∼40억원씩 총 80억원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중이다.송기동 국립국제교육원장은 "그동안 특수외국어 교육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이 부족했으나 이번 국가 차원의 장기적·전략적 지원 방안을 토대로 글로벌 시대를 선도하는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기반이 마련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세계를 보는 창 경제를 보는 눈,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사회부 조인경 기자 ikjo@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지합니다.